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여의도 접촉면 넓히는 김동연…'이재명 대항마' 자리매김 포석?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해철 등 비명계 인사들 영입…국회서 지역 의원들과 GTX 토론회

金, '대권 행보 시동' 해석에 "그런 데 신경 쓸 경황이 없다"

연합뉴스

우원식 국회의장 예방한 김동연 경기도지사
(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0일 오전 국회 의장집무실에서 우원식 국회의장과 대화하고 있다. 2024.6.20 saba@yna.co.kr



(서울=연합뉴스) 설승은 박경준 계승현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여의도와의 접촉면을 부쩍 늘리는 모습이다.

김 지사는 20일 경기연구원과 추미애·조정식·박정·윤호중·한준호·김용태 등 경기도에 지역구를 둔 여야 의원 20명이 국회에서 공동으로 주최한 'GTX 플러스 상생 협약식 및 토론회'에 참석했다.

GTX 플러스는 경기 북부·서남부권의 GTX 노선을 확장하겠다는 구상으로, 김 지사가 역점으로 추진하는 경기도의 숙원 사업이다.

그는 행사에 앞서 우원식 국회의장을 찾아 또 다른 지역 현안인 '경제 3법'(반도체특별법·RE100 3법·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특별법) 제정에 협조를 요청하기도 했다.

최근 경기도가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들을 영입한 것과 맞물려 김 지사의 이같은 행보가 차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이재명 대표의 '대항마'로서 자리매김하려는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대표적인 사례가 옛 친문(친문재인) 출신 비명계 인사인 전해철 전 의원이다. 김 지사는 전 전 의원을 경기도 정책 자문기구인 도정자문위원장으로 위촉했다.

전 전 의원은 지난 총선 공천 과정에서 이 대표와 각을 세운 상징적 인사인 만큼, 당내 기반이 약한 김 지사가 대권을 염두에 두고 친문·비명계를 끌어안으려 한다는 관측이 나왔다.

문재인 정부 초기 경제부총리를 지냈던 김 지사는 지난 대선에 도전했다가 이 대표와 단일화한 바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김동연, '통합정부' 합의…사실상 단일화 선언
(서울=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와 새로운물결 김동연 대선 후보가 1일 오후 서울 마포의 한 카페에서 회동한 후 손을 잡고 함께 이동하고 있다. 2022.3.1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uwg806@yna.co.kr



김 지사는 당 지도부가 대선에 출마하려는 대표의 사퇴 시한을 '대선 1년 전'으로 못 박은 당헌에 예외 조항을 추가할 때도 비판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김 지사는 당헌·당규 개정 논란이 한창이던 지난 11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특정인 맞춤 개정이라는 오해를 사기에 충분하다"며 "소탐대실"이라고 이 대표와 각을 세웠다.

김 지사가 당내 사안에 대해 선명한 목소리를 낸 것은 이례적이었다. 이 대표에게 견제구를 날리면서 자신을 대안으로 부각하려는 시도로도 읽혔다.

김 지사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권 행보'에 시동을 건 것 아니냐는 질문에 "지금 그런 데 신경 쓸 경황이 없이 GTX와 경기도 일 하느라 바쁘다"고 선을 그었다.

또한 경기도가 비명계 인사들을 영입한다는 지적에도 "경기도를 위해 힘을 보태줄 분들을 많이 오시게끔 하는 과정이지, 특별히 정치 세력과 관련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그럼에도 유력한 대권 주자이자 당권을 쥔 이 대표의 '일극 체제'가 강화된 상황에서 김 지사가 대권 행보에 나서려면 현실적으로 비명계와 손잡을 수밖에 없을 것이란 관측이 끊이지 않는다.

다만 지원군으로 삼아야 할 경기 지역 의원들이 대부분 친명 색채가 강한 만큼, 김 지사의 비명계 끌어안기로는 당내 영향력 확대 측면에서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한 경기 지역 의원은 통화에서 "김 지사가 대안 주자로서 존재감을 알리려는 행보에 나선 듯하다"면서도 "누구와 손잡느냐보다 자신의 지지율을 얼마나 올릴지가 대권행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se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