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車에는 車, 관세에는 관세…中, 유럽에 차근차근 보복 준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 차 업계, 유럽산 가솔린차 보복관세 요구


매일경제

메르세데스-벤츠 E300 익스클루시브 스포츠카가 지난 4월 25일 ‘2024 오토 차이나’ 전시회에 전시돼 있다. 타스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이 7월부터 중국산 전기차에 고율 관세 부과를 결정한 이후, 중국이 보복 조치를 하나둘씩 준비하고 있다. EU산 돼지고기 반덤핑 조사 개시를 한 데 이어, 이번에는 유럽산 가솔린 차량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기 위한 사전 작업에 들어갔다.

중국 자동차 업계는 중국 상무부 주최로 19일(현지시간) 베이징에서 열린 비공개회의에서 임시 고율 관세 부과를 요구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를 인용해 보도했다. 회의에서 중국 자동차 업체들은 정부에 대배기량 차량에 대한 고율의 관세 부과를 제안했다고 글로벌타임스는 전했다.

BMW와 폭스바겐, 르노는 이와 관련한 논평을 거부했다. 메르세데스 벤츠 대변인은 로이터통신의 논평 요청에 “WTO 규칙에 근거한 자유무역 제도를 지지한다”며 “정치인들이 평화와 번영을 위해 대화를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유럽산 수입차 3대는 메르세데스 벤츠의 GLE 클래스, S클래스, 포르쉐의 카이엔이다.

이날 블룸버그는 중국이 전기차 추가 관세를 결정한 EU에 대응하기 위해 일련의 조치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앞서 중국 상무부는 17일 EU산 돼지고기와 돼지 부산물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조사 품목은 신선·냉장·냉동 돼지고기와 식용 분쇄육, 건조·훈연·염장 제품과 내장 등이다.

일각에서는 양측 관세 전쟁으로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추가 비용 발생을 막기 위해 EU와 중국이 서로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EU 집행위원회도 타협점을 찾기 위해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