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내 은인” 기안84 인생 바꾼 ‘이 사람’, 현금보너스 415억 받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김준구 네이버웹툰 대표. 제공|네이버웹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나스닥 상장에 나선 김준구 네이버웹툰(웹툰엔터테인먼트) 대표가 현금 보너스로 3000만 달러(약 415억원)를 받는다. 김 대표는 ‘웹툰’이라는 산업 생태계를 만들어 오늘날의 네이버웹툰이 있게 한 일등공신이다.

20일 뉴스1에 따르면 웹툰엔터테인먼트는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증권신고서를 통해 김준구 대표에게 주식 기준 성과보상으로 RSU(양도제한조건부주식) 약 1만 4815주, 현금 보너스 3000만 달러를 지급하기로 이사회 결의 후 승인했다. 또 이사회는 데이비드 J. 리 CFO/COO와 박찬규 CTO에게 각각 RSU 7614주와 RSU 3437주를 지급하기로 했다.

이사회 승인 시점은 3월 이후로, ‘경영진 주식보상 관련의 건’을 안건으로 올려 가결한 3월 27일로 추정된다. 네이버는 지난 2022년 RSU 제도를 도입했다. 경영 성과 등 일정 조건 달성 시 주식을 지급하는 인센티브제도다.

네이버웹툰 관계자는 “증권신고서에 적혀 있는 내용 외 별도로 설명해 드릴 내용은 없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지난해 보수(연봉)로 133억 9800만원(급여 7억 7200만원·상여 126억 2600만원)을 받았다. 데이비드 J. 리 CFO/COO와 박찬규 CTO는 각각 28억 400만원, 5억 1100만 원을 보수로 받았다.

네이버에 개발자로 입사한 김 대표는 ‘만화광’으로 덕업일치를 이뤘다. 2004년 네이버에 만화 서비스를 도입한 이후, ‘웹툰’이라는 새로운 형식과 이름으로 생태계를 구축했다. 인기 웹툰 ‘패션왕’ ‘복학왕’ 등을 그린 웹툰작가 기안84가 네이버 본사에서 숙식하며 작업하도록 해 마감을 지키게 한 것으로 유명하다.

매일경제

네이버 사옥에서 작업하던 기안84. 사진|M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안84는 예능 ‘유퀴즈 온 더 블럭’에서 “준구 형님 아니었으면 나는 아마 이렇게 못 살았다”고 고마워했다. 그는 침착맨(이말년) 유튜브에서도 “내 삶의 가장 큰 은인, 인생의 물꼬를 터준 분”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웹툰작가들이 작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창작가 수익모델을 구축한 공이 크다. 2014년부터 영어, 일본어, 태국어, 프랑스어 등 10개 언어로 글로벌 서비스를 구축해 국내 작가들의 작품을 전 세계에 소개하며 게임, K팝과 함께 웹툰을 한국의 대표 콘텐츠로 만들었다.

매일경제

김준구 네이버웹툰 대표. 제공|네이버웹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네이버웹툰은 미국 나스닥 상장을 추진 중이다.

네이버웹툰 본사이자 북미 소재 법인인 웹툰엔터테인먼트는 지난 17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증권신고서에서 주식 공모가격 희망 범위를 주당 18∼21달러로 제시했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이번 기업공개(IPO)를 통해 보통주 1500만주를 발행, 최대 3억1500만달러(약 4300억원)를 조달할 전망이다. 공모가 상단 가격을 적용하면 네이버웹툰의 상장 후 기업 가치는 26억7000만달러(약 3조7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 19일 웹툰엔터테인먼트가 SEC에 제출한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웹툰엔터테인먼트는 최근 30대1 주식분할을 진행했다. 이에 따라 기존 웹툰엔터테인먼트 주식 1주는 30주로 나누어지고, 주가도 30분의 1로 낮아져 투자자들의 접근성이 좋아진다.

상장이 완료되면 웹툰엔터테인먼트는 종목 코드 ‘WBTN’으로 나스닥시장에서 거래된다.

상장 완료 후에도 네이버의 웹툰 엔터테인먼트 지분은 63.4%로, 지배주주로서 이사 선임 권한을 보유하게 된다. 또 다른 주주인 라인야후(LY 코퍼레이션)도 지분율 24.7%의 주요 주주로 계속 남는다.

네이버는 지난 2021년 세계 최대 웹소설 업체 왓패드를 6억달러에 인수해 웹툰엔터테인먼트 산하에 뒀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나스닥 상장 후 웹소설과 웹툰 지적재산(IP)을 영상화하는 사업에 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올해 1분기 기준 전 세계 150개국에서 창작자 약 2400만 명과 월간활성이용자(MAU) 1억 7000만 명을 확보하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