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여고생 유관순, 친구와 떡볶이 먹었을까” AI가 그린 독립운동가 모습에 뭉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인스타그램 계정 ‘라이언 오슬링’(@ryan_ohsling)이 인공지능(AI)으로 구현한 유관순 열사의 평범한 일상. 유관순 열사가 현대 한국에 살았다면 방과 후 친구와 떡볶이를 먹으러 갔을 것이라는 상상력에서 출발했다. 자료 : 라이언 오슬링 인스타그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관순 열사가 현대 한국에 살았다면 방과 후 친구와 떡볶이를 먹으러 갔을까?”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조국을 지킨 독립운동가들이 현대 한국에서 보냈을 평범한 일상을 인공지능(AI)으로 구현해낸 사진이 온라인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AI 기술로 가상의 이미지를 만드는 인스타그램 계정 ‘라이언 오슬링’(@ryan_ohsling)은 지난 6일 현충일을 맞아 ‘대한민국 영웅들이 맞이하는 평범한 일상’이라는 제목과 함께 이같은 사진들을 올렸다. 해당 계정은 “대한민국의 영웅들을 투쟁이 아닌 ‘일상’에 초점을 맞춰 그들을 기억하고자 이 콘텐츠를 제작했다”면서 “영웅들이 단순히 역사 속 인물이 아니라, 우리와 같은 일상을 살았던 평범한 사람들이었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신문

인스타그램 계정 ‘라이언 오슬링’(@ryan_ohsling)이 인공지능(AI)으로 구현한 안중근 의사와 윤봉길 의사의 평범한 일상. 안 의사와 윤 의사가 현대 한국에 태어났다면 평범한 직장인이자 가장으로 살고 있을 것임을 묘사했다. 자료 : 라이언 오슬링 인스타그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은 유관순 열사와 윤봉길 의사 등 조국의 독립을 위해 일생을 바친 독립운동가들이 만약 현대 한국에 살고 있다면 평범하고 평온한 일상을 보내고 있을 것이라는 상상력에서 출발했다. 첫 번째 사진은 3·1 만세운동을 주도하다 18세의 나이에 순국한 유관순 열사가 교복을 입은 모습으로 하교 후 친구와 분식집에 들러 떡볶이를 먹는 모습이다. 현대 한국에 태어났다면 평범한 여고생의 일상을 보내고 있었을 소녀가 불과 18세의 나이에 옥고를 치르다 순국했다는 사실을 상기시키는 대목이다.

안중근 의사는 퇴근 후 동료들과 술을 마시며 회포를 푸는 어엿한 직장인의 모습으로 묘사됐다. 윤봉길 의사는 ‘도시락 폭탄’이 아닌, 가족들과 나눠 먹을 도시락을 싸는 자상한 가장의 모습으로 구현됐다.
서울신문

인스타그램 계정 ‘라이언 오슬링’(@ryan_ohsling)이 인공지능(AI)으로 구현한 윤동주(왼쪽) 시인과 권기옥 지사의 평범한 일상. 현대 한국에서 윤동주 시인은 별빛 아래에서 책을 읽는 문학청년으로, 권기옥 지사는 달에 착륙한 최초의 한국인으로 살고 있었을 것임을 묘사했다. 자료 : 라이언 오슬링 인스타그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비행사인 권기옥 지사는 한국인으로는 최초로 달에 착륙해 달 표면에 태극기를 꽂은 우주비행사로 재탄생했다. 윤동주 시인은 캠핑을 떠나 별빛 아래에서 책을 읽고 있는 문학청년으로 묘사됐다.

이들 사진들은 뒤늦게 온라인 커뮤니티에 확산되며 네티즌들의 감동을 자아내고 있다. 네티즌들은 “이것이 AI의 순기능이다”, “어느 곳에서든 환생하셔서 당신들이 만든 세상을 누리시길 바란다” 등의 댓글을 달았다.

김소라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