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반도체·조선 빼고 다 안좋다…경제성장률 상향에도 재계 '위기감' 확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민간경제연구원이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2.4%로 0.4%포인트(p) 상향했지만 국내 대기업들의 위기감은 여전하다. 반도체와 조선 등 전통적 수출 효자 업종의 하반기 수출 증가 전망 외에 자동차와 부품, 철강, 석유화학, 전기차 배터리 등 다른 산업 전망은 여전히 비관론이 우세한 상황이다. 석유화학에 이어 철강, 배터리 관련 기업들은 오히려 비상경영이 확산하고 있다.

21일 재계에 따르면,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0%에서 2.4%로 상향 조정했다. 한경원은 상향 조정 이유로 '글로벌 경기 개선에 따른 수출실적 호전'을 들며 "인공지능(AI)에 대한 수요 확대에 따른 반도체 수출 증가가 전체 수출실적 개선의 주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 반도체·조선 제외 석유화학·철강 등 비상경영 확대

반도체와 조선업종을 제외한 자동차와 철강, 석유화학, 전기차 배터리 업계는 여전히 하반기 경영환경을 비관적으로 보고 있다.

뉴스핌

재계 주요 대기업 [사진=뉴스핌 DB]


특히 철강업계의 경우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부진에다 중국산 저가 철강제품 공세에 사실상 비상경영 상태다. 포스코는 지난달 24일부터 임원들의 근무를 주 5일제로 되돌렸다. 당초 올해 1월부터 사무직을 대상으로 격주 주 4일제를 도입했는데 철강업계의 불황이 이어지자 비상 근무에 나선 것이다. 임원 급여도 최대 20% 반납키로 했다. 현대제철과 동국제강도 근무 시간을 조정하고 공장 가동 시간을 줄여 감산에 돌입한 상황이다.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산 저가 철강제품 공세에 조선과 자동차 등 주요 고객사들과의 협상력에서 밀리는 등 불황이 장기화할 조짐"이라며 "원가 절감과 조직 쇄신 등 비상경영 분위기가 점점 확산하고 있다"고 했다.

LG화학과 롯데케미칼 등 석유화학업체들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구조조정에 돌입했고,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도 보릿고개를 넘는 중이다.

◆ SK그룹, 계열사 흡수합병 및 통폐합·CEO 교체 등 전방위 사업 재편

주요 대기업 중에선 SK그룹의 위기감이 증폭되고 있다. 대규모 자금이 투입된 배터리 회사 SK온의 적자가 지속되자 모 회사인 SK이노베이션과 다른 계열사인 SK E&S의 통합 검토 논의가 나오는 등 그룹 차원의 리밸런싱에 속도를 내고 있다.

계열사 흡수합병 및 중복사업 통폐합, 계열사 임원 감축 및 CEO 교체, 계열사 매각 및 투자지분 정리 등 SK그룹 차원의 전방위적 사업 재편안이 나오고 있다. SK그룹은 오는 28∼29일 SK그룹 경영전략회의 자리에서 올해 초부터 추진한 그룹 리밸런싱 방안을 집중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재계 1, 2위인 삼성과 SK 등 주요 그룹사 중심으로 위기감이 파다하다"며 "한가하게 경제성장률 상향을 논할때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tack@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