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6재단, 전국 남녀 2천명 대상 '세월호참사 대국민인식조사'
66% "진상규명 안됐다"…88% "혐오 표현 받는 피해자 보호해야"
세월호 참사 10주기 기억합창 |
아울러 국민의 대다수가 세월호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4·16 재단은 데이터 전문기관인 에스티이노베이션에 의뢰해 지난 5월 16~27일 전국 20~75세 성인 남녀 2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세월호참사에 대한 대국민 인식 조사 리서치연구'(95% 신뢰수준, ±2.19% 포인트) 결과를 21일 세월호참사 10주년 국제심포지엄에서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세월호참사 이후 우리 사회가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사회가 되어가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64.3%는 "변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지금 우리 사회가 재난으로부터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도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이 69.9%를 차지했다.
세월호참사가 사회에 영향을 줬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91.3%는 "큰 영향 또는 어느 정도 영향을 줬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70.9%는 지난 10년간 세월호 참사 희생자를 애도하거나 기억하는 행동에 동참한 적이 있다고 했다.
세월호 참사의 진상이 밝혀졌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6.6%는 "밝혀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72.6%는 "책임자 처벌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77.7%는 "추가적인 처벌이 필요하다"고 했다.
세월호 참사 책임과 관련해서는 '국가에 책임이 있다'는 응답이 83.7%로 많았다.
아울러 기관·단체별 책임 정도에 대해서는 세월호 회사 66.9%, 세월호 선원 63.1%, 대통령실 60.1%, 해양수산부 58.7% 등 순이었다.
세월호 참사 이후 우리 사회를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로 만들어가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에 대해서는 안전에 관한 시민 권리의식 개선(54.9%)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피해자들의 진실·책임규명(39.4%), 정부의 재난 대응 능력·의지 개선(38.4%) 등이 뒤를 이었다.
안전 사회로 나아가는 데 걸림돌로는 행정부(60.3%), 입법부(47.3%), 사법부(38.1%) 순으로 꼽았다.
응답자의 61.5%가 세월호 참사 피해자들에 대한 혐오 표현을 들어봤으며, 88.4%는 피해자들이 혐오 표현을 받는 것에 대해 보호 및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고 각각 답했다.
아울러 세월호 참사 피해자들과 이태원 참사 피해자들의 권리가 존중되지 않았다는 응답은 각각 50.1%와 49.4%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65.7%는 '재난 참사 피해자들이 연대해 활동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세월호참사 추모 공원과 관련해서는 재난 희생자 애도에 도움이 된다(82.9%), 안전 사회를 위한 교육에 도움이 된다(78.9%)는 응답이 많았다.
세월호 참사 10주년 국제심포지엄 |
'재난안전에 관심이 있다'는 응답은 69.5%로, '관심 없다'는 응답(6.7%)보다 10배가량 많았다.
응답자의 63.9%는 재난 안전 문제가 심각하다고 인식했다.
앞으로 10년 내외 우리나라 재난·사고 위험도가 현재보다 나이질 것이라는 응답은 46.2%로 과반에 못 미쳤다.
안전한 사회를 위해서는 법적 처벌과 규제강화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39.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재난 대응 행정 개선(28.5%), 교육 및 인식 제고(22.0%)를 꼽았다.
아울러 경제적 활력이나 계층 간 형평성 같은 가치보다 안전 가치가 중요하다는 응답은 74.3%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전날 안산 문화예술의전당 국제회의장에서 개막한 세월호참사 10주년 국제심포지엄은 이날 재난 참사 진상 규명 과정의 평가와 숙제, 한국 사회의 변화와 과제 등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이어갔다.
hedgehog@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