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인하대에 ‘이승만 조형물’ 또 논란…왜 자꾸 시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인하대 총동창회가 교내에 설치를 추진 중인 이승만 전 대통령 기념 조형물 예상 조형도. 인하대 총동창회 누리집 갈무리.


이승만 전 대통령을 기리는 조형물의 교내 설치를 두고 인하대에서 논란이 일며 기공식이 취소됐다.



22일 인하대 총동창회에 따르면 동창회는 인하대 캠퍼스 내에 조성 중인 ‘하와이-인하공원’에 개교 70주년 및 총동창회 창립 65주년을 맞아 학교 설립에 기여한 이 전 대통령의 사진이 포함된 조형물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가로 18m, 세로 3~6m 크기의 ㄴ자 형태 조형물에는 이 전 대통령이 인하대 전신인 인하공과대학의 이원철 초대 학장에게 교기를 전달하는 사진이 지름 3m 크기로 담길 예정이다. 이 전 대통령은 6.25 한국전쟁 중이던 1952년 12월 피난 중이던 부산에서 김법린 당시 문교부 장관에게 인천에 공과대학 설립을 지시했다. 이후 기부금과 정부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 이 대학 건립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



총동창회는 이 전 대통령뿐 아니라 인하대에 개교 자금을 보태준 미국 하와이 교민들 사진도 각각 가로·세로 1.5m 크기 조형물에 담는다는 계획이다. 하와이 교민들은 하와이 사탕수수밭에서 노동하며 모은 돈을 학교 설립에 보탰고, 학교 측은 이에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학교 이름을 인천과 하와이 앞 글자를 따서 지었다.



그러나 이 같은 조형물 설립 추진 계획이 알려지자 교내에서 반대 여론이 일었다. 서준석 인하대 총학생회 동문회 회장은 “특정인을 부각해 우상화하기보다는 국가와 민족을 사랑했던 하와이 이민자들의 동포애를 부각해야 한다”며 이 전 대통령을 기리는 조형물이 교민 조형물보다 크게 설치되는 데 이의를 제기했다.



이에 인하대 총동문회 측 관계자는 “인하대 창학에 이 전 대통령 역할이 컸다는 건 분명한 사실”이라며 “동상을 복원하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논란을 고려해 조형물 형태로 추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학교 측은 당초 21일 진행하려던 기공식도 교내 반발을 고려해 취소했다. 인하대 관계자는 “교내외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취소했으며 향후 구성원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인하대에서 이 같은 논란이 불거진 건 처음이 아니다. 1979년에는 높이 6.3m의 이 전 대통령 동상이 교내에 건립됐다가, 1984년 민주화운동 당시 학생 시위대에 의해 철거됐다. 이후 2010년 총동창회와 이본수 전 인하대 총장이 동상 재건을 추진했으나 교내 반대 의견에 밀려 무산된 바 있다.



남지현 기자 southjh@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오직 한겨레에서 볼 수 있는 보석같은 기사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