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장마·폭염에 식중독 초비상? 장보러 가기 전 꼭 보세요 [헬시타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식약처, 식중독 예방 세척·조리·소독법 안내

6~8월 식중독 위험 급증···음식점 발생이 58%

식중독 예방 위해 식재료 취급 요령 등 지켜야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름엔 겨울 만큼이나 건강 관리가 쉽지 않다. 이번 주말은 서울·경기 등 수도권의 경우 폭염에 시달리고 남부 지방과 제주도는 장맛비가 내리는 극한 날씨가 이어질 예정이다. 장마와 폭염 등으로 고온다습한 날씨가 이어지는 여름철에는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본격적인 무더위를 맞아 여름철 음식점의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유의사항과 함께 식재료 취급 요령등을 안내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9~2023년) 여름철(6~8월) 발생한 식중독은 평균 98건이었다. 환자수로 따지면 2061명에 달한다. 그 중 음식점에서 발생한 식중독이 전체의 58%(57건)를 차지하며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철에 발생한 식중독의 50% 이상은 병원성대장균과 살모넬라균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주요 원인 식품을 살펴보면 살모넬라 식중독은 김밥, 냉면 등 달걀을 사용한 음식이었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은 가열조리 없이 섭취하는 생채소 및 육류에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식약처는 음식점에서 식재료 및 조리기구에 대한 철저한 세척?소독 관리 등을 통해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세척?보관 등 식재료별 취급 요령과 음식 조리 시 주의사항, 조리기구 세척?소독 방법 등만 숙지해도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음식점이 아닌 일반 가정에서도 식재료 준비부터 음식을 조리하는 단계에서 참고하면 유용한 방법들이다.

식약처는 가열·조리 없이 섭취하는 채소류의 경우 염소 소독액(100ppm)에 5분간 담근 후 수돗물로 3회 이상 세척해 손님에게 제공하라고 당부했다. 음식점에서 흔히 주메뉴와 함께 제공되는 겉절이, 쌈채소 등이 대표적이다. 100ppm은 4% 농도 염소 소독액을 약 400배 희석한 수준으로, 소독제 0.1ℓ(종이컵 반 컵)와 물 40ℓ를 섞어서 만들면 된다.

음식점에서 육류를 냉장고에 보관할 때는 핏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해야 한다. 달걀과 생닭, 다짐육, 냉동 패티 등은 내부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가열하라고 식약처는 전했다. 살모넬라균 등은 열에 약해 완전히 익히면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장을 볼 때도 요령이 필요하다. 식약처는 되도록 1시간 이내 장을 보고 권했다. 장을 보는 순서를 정할 때도 지혜가 필요하다. 식약처가 권고하는 식재로 구입 순서는 △상온 보관 제품 △과일·채소류 △냉장·냉동 제품 △육류 △어패류 순이다. 라면, 쌀을 먼저 사고 양파, 우유, 닭고기, 생선 등의 순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구매한 식재료는 최대한 빨리 냉장고에 보관해야 한다. 마트에서 집까지 이동하는 데 30분 이상 걸리는 경우 미리 아이스박스를 준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칼·도마는 채소용·육류용·어류용 등 식재료별로 구분해 사용해야 한다.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 열탕 소독 또는 살균·소독제를 활용한 세척도 필요하다고 식약처는 설명했다.

각 가정에서도 음식점에서 포장한 음식이나 배달한 음식은 상온에 보관하지 않고 바로 섭취해야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안경진 의료전문기자 realglasses@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