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기름 미리 넣는 게 이득”… 휘발윳값 다음주 오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지난 16일 서울 시내 주유소에서 한 시민이 주유하는 모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주 국내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판매 가격이 동반 하락세를 보였다. 22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6월 셋째 주(16∼20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직전 주 대비 리터당 6.0원 하락한 1,648.7원으로, 7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휘발유 가격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로, 직전 주보다 2.5원 하락한 1,711.5원이었다. 반면 가격이 가장 낮은 지역은 대구로, 3.8원 하락한 1,615.9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가장 저렴한 상표는 알뜰주유소로, 리터당 평균가는 1,629.8원이었다.

경유의 평균 판매가격도 하락세를 보였다. 경유의 평균 판매가격은 1,478.0원으로, 전주 대비 5.7원 내리며 8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이번 주 국제유가는 여름철 여행 증가에 따른 석유 수요 증가 전망, 미국의 물가 지표 둔화에 따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 등에 힘입어 상승했다. 수입 원유가격 기준인 두바이유는 직전 주보다 2.2달러 오른 84.1달러였다. 국제 휘발유 가격은 2.3달러 상승한 89.0달러였으며, 국제 자동차용 경유는 3.6달러 오른 100.7달러로 집계되었다.

국제유가 변동은 통상 2∼3주가량 차이를 두고 국내 주유소 가격에 반영된다. 이에 따라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최근 1∼2주간 국제 휘발유 가격과 경유 가격이 오르고 있어 다음 주에는 국내 가격 하락세가 둔화하거나 상승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번 주의 국내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가격 변동은 국제유가의 영향뿐만 아니라 국내 시장 상황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여름철 여행 수요의 증가로 인해 석유 제품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미국의 물가 지표가 둔화됨에 따라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고 있으며, 이는 국제유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은 소비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가격 상승이 예상되므로, 주유를 미리 해두는 것이 경제적일 수 있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