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비트코인 6만4000달러대 횡보···"특별한 호재 없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기준 금리 동결, 미국 기술주 관심으로 약세

투자 심리는 '중간'···비트코인 회의적 전망도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가상자산 대장주 비트코인 가격이 6만4000달러대에서 횡보하고 있다. 이달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발표된 기준금리 동결 속 별다른 호재 없이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이데일리

가상자산 시세.(자료=코인마켓캡)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3일 가상자산 시황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오전 8시 30분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0.27% 상승한 6만4287달러를 기록했다. 같은 시간 알트코인(비트코인 외 가상자산) 대표격인 이더리움은 전일 대비 0.58% 하락한 3499달러에, 리플은 0.43 내린 0.488달러에 거래됐다. 같은 시간 업비트 기준 가격은 비트코인이 전날 대비 0.69% 상승한 9093만원을 기록했다. 이더리움은 0.06% 하락한 495만2000원, 리플은 0.03% 오른 688.8원을 기록했다.

비트코인 약세는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별다른 상승 동력이 없는데다, 미국 투자자들의 수요 약화,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자금 순유출세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엔비디아가 한때 시총 1위에 올라서는 등 미국 기술주가 주목받으면서 가상자산 투자자들도 비트코인보다 엔비디아 등 AI 기술주에 관심을 돌리는 것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피터 시프(Peter Schiff) 유로 퍼시픽 캐피탈 CEO는 비트코인 가격이 앞으로 몇 년 동안 계속 하락할 것이라는 부정적 전망도 내놓았다. 피터 시프 CEO는 X(옛 트위터)를 통해 “엔비디아는 시총이 3조3400억달러로 5개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의 국내총생산(GDP)을 초과하는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회사로 곧 미국, 중국만이 이 회사보다 시총이 큰 GDP를 갖게 될 것”이라며 “엔비디아 GPU에는 0.1~0.3g의 금이 포함된 반면 비트코인에는 금이 들어가 있지 않다”며 회의적인 반응을 전했다.

한편, 코인마켓캡의 ‘가상자산 공포 및 탐욕 지수’에 따른 가상자산 심리 단계는 51점으로 ‘중간’ 단계를 나타냈다. 값이 0에 가까워지면 시장이 극도의 공포상태로 투자자들이 과매도를 하며, 100에 가까워지면 시장이 탐욕에 빠져 시장 조정 가능성이 있음을 뜻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