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KIST 연구팀 "독성 완화된 mRNA 백신용 지질 나노입자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독성 없이 면역 증강 효과낼 수 있어

노컷뉴스

KIST 지질 나노입자 개발팀. 왼쪽부터 금교창 박사, 유소연 박사, 방은경 박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융합기술연구단 방은경·금교창 박사팀은 가톨릭대학교 의생명과학과 남재환 교수팀,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윤혜원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독성이 완화된 mRNA 백신용 신규 지질 나노입자 조성 방법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mRNA 백신은 코로나19 백신에서 보듯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를 담은 메신저 리보핵산(mRNA)을 이용해 인체 내에서 항원을 직접 생성하게 함으로써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차세대 백신이지만, 백신 접종 후 발생하는 여러 부작용에 대한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는 난점이 있다.

특히 RNA 의약품을 담아 세포 내로 전달하는 지질 기반 전달체인 지질 나노입자를 구성하는 물질 중 하나인 이온화 지질은 약물 전달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지만, 체내에서 독성을 유발할 수 있어 이를 완화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온화 지질에 상응하는 면역 증강 효과가 있으면서도 독성이 없는 트레할로스(trehalose) 당지질에 주목, 전체 지질 중 이온화 지질의 함량을 기존 50%에서 25%로 줄이고 트레할로스 당지질을 25% 추가한 새로운 지질 나노입자 조성 방법을 개발했다.

염증 완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트레할로스는 수소결합을 통해 mRNA와 상호작용이 가능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트레할로스 당지질은 체내 면역 인자 수용체와 결합하는 리간드(생체분자와 복합체를 형성하는 물질)로 작용해 면역 증강 효과를 지닌다.

연구팀은 해당 신규 지질 나노입자를 mRNA 구조체 플랫폼과 결합해 인플루엔자 mRNA 백신으로서 효능을 검증한 결과, 기존 지질 나노입자와 동일한 수준의 면역 증강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

또 유효 농도의 10배 이상 고농도 백신을 쥐에 주입했을 때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심장 독성과 간 독성 지표에 차이가 없어 독성 완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해당 지질 나노입자를 이용한 백신은 비장과 림프절 등 면역 관련 기관을 표적으로 해 전달이 가능해 다른 장기로의 전달에 따른 부작용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KIST 방은경 박사는 "트레할로스 당지질은 이온화 지질의 함량을 줄이고 표적화할 수 있어 독성을 완화할 수 있는 지질 나노입자의 주요 성분이 될 것"이라며 "면역 관련 장기에 표적 전달이 가능한 mRNA 백신 전달체는 전염병 예방 및 면역 항암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해당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바이오액티브 머티리얼스' 최신호에 지난달 게재됐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