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지난해 9월~올 1월 北 포탄 추정 폭발물 7만4000t 러에 전달" WP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WP·C4ADS 분석…"포탄 160만 발 규모"

北나진항→러 극동 2개항→러 16곳 이동

뉴시스

[평양=AP/뉴시스] 19일 북한을 국빈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이 평양 외곽 순안국제공항에서 베트남으로 떠나기 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배웅을 받고 있다. 2024.06.23.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신정원 기자 = 북한이 지난해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포탄으로 추정되는 폭발물 7만4000t을 러시아에 공급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2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WP는 미국의 안보 관련 비영리 단체인 첨단국방연구센터(C4ADS)에게 제공받은 러시아 내부 교역 자료를 토대로 지난해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러시아 극동 지역 항구 2곳에서 우크라이나 인근 서부 국경을 따라 16곳에 폭발물 7만4000t이 배포됐다고 보도했다.

7만4000t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사용한 포탄 약 160만 발에 해당하는 양이라고 WP는 지적했다.

C4ADS에 따르면 무역 자료에선 '폭발물'이라고 적혀 있었지만, 도착지에선 '탄약'으로 표시돼 있었다고 한다.

이 자료에 선적지는 적시돼 있지 않았지만, WP와 C4ADS는 위성사진과 해상 교통 데이터를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같은 기간 러시아 선박이 북한과 러시아를 오간 증거가 발견됐다고 주장했다.

위성사진으로 북러 움직임을 감시하는 영국 싱크탱크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도 대략 같은 기간 북한 나진항과 러시아 두 항구 사이에 27개 화물을 발견했고, 컨테이너 수천개가 운반된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그 내용물이 무엇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WP와 C4ADS 분석 결과, 러시아군과 연계된 러시아 국적 선박 '레이디R'와 '앙가라', '마리야', '마이아1'은 북한 나진항에 정박했다 러시아 극동 보스토치니항과 두나이항에 입항했고, 폭발물 대부분은 도착 후 일주일 내에 러시아 내 16곳으로 운반되기 시작했다. 이 선박들은 한미 당국이 북한 무기를 러시아로 운반하는데 관여한 것으로 지목했던 선박들이다.

또한 16곳 중 12곳은 탄약 저장 시설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곳과 가까운 곳이었다고 C4ADS는 밝혔다.

이와 관련 카네기국제평화제단의 러시아 및 유라시아 프로그램 선임연구원인 다라 매시콧은 "자료에 나온 장소 인근 시설들은 포병 및 로켓 저장소와 관련이 있으며 일부는 포병 및 기타 장갑차 포탄을 저장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러시아 국방부 내 러시아군 무기조달을 감독하는 부서인 GRAU에 보고하는 시설도 있고, 이러한 시설은 일반적으로 포탄, 로켓, 미사일 및 기타 여러 유형의 탄약을 저장한다"면서 "정확히 무엇을 전달하고 있는지 확신할 수는 없지만 우크라이나 인근 저장 기지와 러시아 전역의 민감한 GRAU 탄약 저장 시설로 전달되는 폭발물 라벨을 보면 포탄에서 로켓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탄약을 러시아로 전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했다.

뉴시스

[서울=뉴시스] 워싱턴포스트(WP)는 22일(현지시각) 미국의 안보 관련 비영리 단체인 첨단국방연구센터(C4ADS)에게 제공받은 러시아 내부 교역 자료를 토대로 지난해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러시아 극동 지역 항구 2곳에서 우크라이나 인근 서부 국경을 따라 16곳에 북한 포탄으로 추정되는 폭발물 7만4000t이 배포됐다고 보도했다. (사진=WP 웹사이트 갈무리) *재배포 및 DB 금지. 2024.06.23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위성사진에서 지난해 9월~12월 탄약고 인근에 컨테이너가 나타났고, 저장 공간이 확장됐음을 보여주는 새로운 보호용 둔덕(berm)도 지어졌다.

C4ADS는 "일반적으로 폭발물을 격리하는데 사용되는 방호벽이 대규모로 쌓인 것은 그것이 군수품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면서 "더욱이 이 수송품들이 러우 국경을 향해 서쪽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은 러시아가 전쟁에서 이 군수품을 사용할 의도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19일 평양에서 '전쟁시 상호 군사지원' 조항이 포함된 '북러 포괄적 전략 동반자 조약'을 체결했다.

회담 이틀 전, 미 국무부는 북한이 지난해 9월 이후 러시아에 군수품 1만1000개 이상을 공급한 것으로 추정했다.

북한과 러시아는 모두 이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20일 하노에서 북한.베트남 순방을 마무리하는 기자회견에서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북한에 도움을 요청하지 않았고 북한도 도움을 제공한 적이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wshin@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