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반도체·자동차 쌍끌이… 2024년 수출 사상최대 6900억弗 전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무협 ‘수출입 전망 보고서’ 발표

수출 증가율 2023년比 9.1%로 상향

수입은 1% 늘어난 6490억弗 예측

전체 무역수지 410억弗 흑자 기대

반도체 수출 31.8%↑ ‘효자’ 복귀

상의 “반도체 업종만 전망 맑아

철강·석화·건설 등 하반기 흐림”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 호조에 힘입어 올해 우리나라 수출이 지난해보다 9.1% 증가한 6900억달러를 달성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 전망이 실현된다면 역대 최대 수출 실적이다.

24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수출입 평가 및 하반기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수출은 전년 대비 9.1% 증가한 6900억달러, 수입은 1.0% 증가한 6490억달러, 무역수지는 410억달러 흑자를 기록할 전망이다.

세계일보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말 무협은 올해 수출 증가율을 7.5%로 제시했으나 이번에 1.6%포인트 상향했다. 이를 달성하면 사상 최대 수출 기록이며, 수출과 수입을 합친 무역 규모는 2022년에 이어 두 번째다.

보고서는 올해 수출 증가의 가장 큰 동력으로 반도체를 포함한 정보기술(IT) 기기와 자동차, 선박 등 주력 품목들의 선전을 꼽았다. 반도체는 인공지능(AI) 산업 급성장과 최대 소비 시장인 중국의 IT 제품 수요 증가 영향으로 올해 수출이 31.8% 늘어날 것으로 봤다. 컴퓨터(53.0%)와 디스플레이(10.3%), 무선통신기기(8.0%) 등도 수출 증가가 기대된다.

자동차의 경우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정체) 우려에도 하이브리드차량(HEV)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중심으로 전년 대비 3.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선박은 하반기 유럽·아시아로의 액화천연가스(LNG)선과 대형 컨테이너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인도가 예상되는 등 수출 여건이 우호적이다.

대한상공회의소도 이날 ‘2024년 하반기 산업기상도 전망 조사’를 통해 반도체와 자동차·조선·이차전지 등의 수출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도체 산업은 조사대상 11개 업종 중 유일하게 ‘맑음’으로 전망됐다. AI PC, 신규 스마트폰 출시 등 IT기기 수요 증가 기대와 메모리 가격 상승세 지속이 긍정적 요인이다. 전년 대비 수출 증가율 전망치는 29.8%다.

자동차·조선·이차전지·바이오·기계·디스플레이·섬유패션 업종은 ‘대체로 맑음’으로 예보됐다.

실적 부진에 시달리던 배터리 산업은 하반기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신차 출시와 미국의 대중 전기차·배터리 관세 부과에 따른 반사이익 등이 기대된다. 제약·바이오산업의 경우 미·중 갈등 심화로 일부 중국 바이오기업과의 거래가 제한되면서 국내 바이오기업이 미국의 새로운 파트너사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면 철강·석유화학·건설 하반기 전망은 ‘흐림’이다.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중국산 저가 제품이 한국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건설은 민간 부문의 수주가 전년 동기 대비 20.7%로 많이 감소했고, 고금리 및 프로젝트파이낸싱(PF) 구조조정으로 자금 조달의 어려움이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조상현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중동 지역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국제유가·환율 불안과 미·중 무역분쟁, 주요국의 관세장벽 강화, 해상운임 상승 등은 하반기 주요 리스크”라며 “수출 회복 기조를 이어가도록 대내외 여건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자국 산업 우선주의 확대와 중국의 공급역량 강화 및 밀어내기 수출 등으로 글로벌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며 “민간의 생산성 증대와 고부가가치 전략 노력과 더불어 민간 역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규제 해소, 세제지원 등 정책적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진경 기자 lj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