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막막하기만"…철거 앞둔 해운대 포장마차촌 상인들 망연자실 [르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5일 구청 직원·포크레인·지게차 투입

상인 "20년 넘게 장사, 떠나려니 속상"

뉴시스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1960년대 초부터 영업을 한 부산 해운대 바다마을 포장마차촌이 추억 속으로 사라졌다. 25일 해운대구청 관계자들이 중장비를 동원해 포장마차촌을 철거하고 있다. 이 포장마차촌은 시유지 무단점용과 무신고 영업행위 등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 해운대구는 2021년 상인들과 2년6개월의 유예기간을 거쳐 올 1월31일 자진 철거하기로 합의하고 이날 최종 철거에 나섰다. 2024.06.25. yulnet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뉴시스]이동민 기자 = 25일 오전 8시40분 서늘한 날씨 속, 20여 년만의 철거를 앞둔 해운대 바다마을 포장마차촌.

포장마차촌 입구 한 편에는 다량의 아이스박스와 뜰채, 바구니 등이 널브러져 있었고, 한때 관광객들이 가득했던 포장마차촌 거리는 한산했다.

싱싱한 해산물과 소주와 맥주 등이 즐비했던 점포 곳곳에는 빈 수족관과 먹다 남은 맥주가 담긴 박스만 남아 있었다.

해운대구는 당초 지난 1월 말에 포장마차촌을 철거할 계획이었으나, 상인들이 1년 영업 연장을 요청하는 등 응하지 않아 행정대집행을 통한 강제 철거 위기도 있었다.

이후 상인회와 구의 지속적인 협의 끝에 자진 철거할 것을 결정한 후, 지난 24일 점포 39곳이 자진철거 했다.

구는 이날 오전 9시부터 직원 69명과 포크레인, 지게차 등을 투입해 같은날 오후 6시 전까지 잔재물 정리를 완료할 계획이다.

뉴시스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25일 해운대구청 관계자들이 중장비를 동원해 포장마차촌을 철거하고 있다. 이 포장마차촌은 시유지 무단점용과 무신고 영업행위 등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 해운대구는 2021년 상인들과 2년6개월의 유예기간을 거쳐 올 1월31일 자진 철거하기로 합의하고 이날 최종 철거에 나섰다. 2024.06.25. yulnet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포장마차촌 철거를 앞두고 상인들이 막바지에 점포를 정리하는 모습도 보였다.

40년 가까이 해운대 일대에서 포장마차를 운영하다 2001년부터 이 곳에서 일한 이재희(69·여) 씨는 눈시울을 붉히며 "한때 단골들과 하하호호 떠들며 장사하던 곳이 이렇게 철거하게 돼 아쉽다"면서 "마치 부당해고 당한 기분이다. 앞으로 어떻게 먹고 살 지 막막하기만 하다"고 토로했다.

2002 월드컵 조 추첨일인 지난 2001년 12월1일부터 이 곳에서 점포를 운영한 노모(70대·여) 씨도 "철거할 날이 올 거라 생각만 했는데 막상 떠나려니 많이 속상하다"고 밝혔다.

상인 5명은 미포항 입구에 위치한 미포 씨랜드 회센터에서 횟집을 운영한다. 구는 나머지 상인 중 희망자를 대상으로 공공근로 등 취업을 알선할 계획이다.

해당 부지는 새 단장을 거쳐 우선 공영주차장으로 운영되며, 장기적으로는 용역 등을 통해 주민과 관광객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한편 바다마을 포장마차는 1960년대부터 미포항과 해수욕장 백사장 주변에 산재돼 운영됐으나, 2002년 한일 월드컵과 부산 아시안게임 등 국제 스포츠 행사를 앞두고 대대적으로 정비 작업이 진행되면서 2001년 지금의 모습을 갖췄다.

한때 포장마차촌 70여 곳이 운영될 정도로 문전성시를 이뤘으나 철거 직전에는 39곳이 남아 있었다.

강영철 바다마을 포장마차 자치위원회 회장은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상인들이 경제적으로 많이 힘들었다. 이번 피서철 때라도 장사를 하고 철거를 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면서 "나머지 상인 중 일부가 미포 끝자락에서라도 조그맣게 포장마차촌을 운영하려 구청 실무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구청이 적극적으로 고려해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뉴시스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25일 해운대구청 관계자들이 중장비를 동원해 포장마차촌을 철거하고 있다. 이 포장마차촌은 시유지 무단점용과 무신고 영업행위 등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 해운대구는 2021년 상인들과 2년6개월의 유예기간을 거쳐 올 1월31일 자진 철거하기로 합의하고 이날 최종 철거에 나섰다. 2024.06.25. yulnet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공감언론 뉴시스 eastsky@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