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라인사태 보안 사고, 日업체 탓"…도마에 오른 '트렌드마이크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김보민기자] 라인 사태를 촉발한 네이버클라우드 내 보안 사고가 일본 업체 솔루션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도마에 오른 기업은 사이버보안 전문 '트렌드마이크로'다. 트렌드마이크로는 이번 사안과 관련해 내부 검토를 거쳐 공식 입장을 밝힐 전망이다.

2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네이버클라우드는 일본 기업 트렌드마이크로에서 개발한 보안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다. 라인 사태를 촉발한 협력업체 A사는 트렌드마이크로가 지정한 한국 내 파트너사로 알려졌다.

라인 사태는 지난해 8월24일 A사 직원 컴퓨터가 악성코드에 감염되면서부터 시작됐다. 당시 해당 악성코드가 네이버클라우드 국내 서버와 연동된 일본 서버로 전파됐고, 10월경 악성코드에 감염된 일본 서버에 해킹이 시도돼 개인정보 51만건이 유출됐다.

의원실은 트렌드마이크로가 지정한 업체에 보안 솔루션 유지 보수를 맡겼다가 악성코드 감염사고가 발생했다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라인 개인정보 유출 사건과 관련해 운영을 책임진 네이버 측 잘못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지만, 실제 보안 솔루션을 제공한 트렌드마이크로와 파트너사의 책임 또한 무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최 위원장은 "라인 개인정보 진상을 알고보니, 네이버가 일본 기업의 보안 솔루션을 믿고 맡겼다가 사고가 난 것"이라며 "그런데도 일본 정부가 노골적인 네이버 몰아내기로 기업 활동 자유를 침해하는 것은 부당한 일"이라고 말했다.

트렌드마이크로는 내부 검토를 거쳐 공식 입장을 내놓을 예정이다. 회사 측은 솔루션 외 유지보수와 관리 측면에서 미흡한 점이 없었는지를 중점으로 입장을 정리할 전망이다.

다만 라인사태가 일본과 한국 국가간 이슈로 번진 만큼, 트렌드마이크로 측 책임 요인이 없는지 확인하는 데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그동안 일본 총무성은 라인야후에서 개인정보 유출이 발생한 점에 대해 올 3월과 4월 통신 비밀보호 및 사이버 보안 확보를 위한 행정지도를 실시했고, 라인야후와 네이버의 자본관계 재검토를 조명하기도 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