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여보, 은퇴하면 시골가자”는 옛말?…‘나홀로 귀농’ 늘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수확하는 가을 농촌. 2023.10.26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시를 떠나 농촌, 어촌으로 향하는 사람들이 2년 연속 감소했다. 특히 도시를 떠난 사람들 대부분은 ‘1인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 통계청이 공동으로 발표한 ‘2023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귀어 가구는 각각 1만 307가구, 30만 6441가구, 716가구로 집계됐다.

모두 합쳐 31만 7464가구로, 전년보다 4.4% 감소했다. 귀농가구와 귀촌가구는 각각 17.0%, 3.9% 감소했고 귀어가구는 24.7% 줄었다.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귀농인, 귀촌인, 귀어인은 각각 1만 540명, 40만 93명, 904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감소율은 귀농인 16.7%, 귀촌인 5.0%, 귀어인 26.7%다.

귀어인구 감소의 주요 원인은 수산업법 개정에 따른 것이다. 지난해 1월 신고어업 분야에서 ‘6개월 이상 주소를 둔 사람’으로 등록 기준이 강화돼, 지난해 하반기 어촌으로 전입한 이 분야 귀어인의 등록이 제한됐기 때문이다. 귀어인의 76% 정도는 신고어업 분야에 종사한다.

국내 인구 이동자 수가 감소한 것도 귀농·귀촌·귀어 인구 감소에 영향을 줬다. 특히 60대 이상의 도시 취업이 증가하면서 귀농·귀어 흐름이 약화했다.

귀농·귀촌·귀어가구 대부분 ‘1인 가구’

통계에 따르면 귀농가구 중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76.8%에 달했다. 이는 전년대비 1.5%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귀농가구의 평균 가구원 수도 1.33명에 불과했다.

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56.3세로, 50대가 31.8%, 60대가 37.4%를 차지했다. 가구주의 65.5%는 남성이었다.

이 같은 경향은 귀어인도 비슷했다. 귀어가구는 80.3%가 1인 가구로, 평균 가구원 수는 1.26명이었다. 가구주의 평균연령은 52.9세로, 50대가 33.4%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8.8%로 그 뒤를 이었다.

귀촌가구는 78.5%가 1인 가구였고, 평균 가구원 수는 1.31명이었다. 다만 가구주 평균 연령이 45.4세로 비교적 젊었다. 연령대도 30대가 22.4%로 가장 많았고 20대 이하 20.9%, 50대 17.8% 순이었다.

윤예림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