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北, 한 달 만에 쏜 탄도탄 실패…오물풍선 등 사흘 연속 도발[일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 달 사이 GPS 교란·KN-25 발사·오물풍선 살포·MDL 침범 등 복합 도발

뉴스1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중거리탄도미사일용 대출력 고체연료 발동기(엔진)의 첫 지상분출시험.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응진 기자 = 북한이 26일 새벽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으나 정상적인 비행에 실패했다. 이는 대남 오물풍선 살포에 이은 사흘 연속 도발이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우리 군은 북한이 이날 오전 5시 30분쯤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탄도미사일 1발을 포착했다. 이 탄도미사일은 함경북도 앞바다의 무인도 '알섬' 방향으로 250여㎞를 비행하다 공중에서 폭발해 강원도 원산 앞바다에 낙하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 군은 이 탄도미사일이 고체연료 추진체계를 적용한 중거리급 탄도미사일(IRBM)일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북한은 지난 1월 15일 고체연료 추진체계를 적용한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의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했는데, 이번 발사 또한 이와 유사한 시험일지 주목된다.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쏘아올린 건 지난달 30일 발사한 600㎜ 구경 초대형방사포(KN-25) 이후 약 한 달 만이다. '북한의 모든 탄도미사일 및 그 기술을 이용한 비행체 발사를 금지'한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다.

북한은 지난달 27일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 이후 약 한 동안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전파 교란 공격 △KN-25 발사 △대남 오물풍선 살포 △군사분계선(MDL) 침범 등 복합 도발을 벌이고 있다.

뉴스1

서울 성북구 석관동에 낙하된 오염물을 처리하는 모습. (합동참모본부 제공) 2024.6.25/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북한의 올해 미사일 발사 등 무력도발 일지.(▲=합참 발표 / △=북한 발표)

▲1월 5일 오전 = 서해 완충구역에 포격(200여발).

▲1월 6일 오후 = 서해 완충구역에 포격(60여발).

▲1월 7일 오후 = 서해 완충구역에 포격(90여발).

▲1월 14일 오후 = 평양 일대에서 중거리급 추정 탄도미사일 1발 발사. 비행거리 1000여㎞. 고체연료 추진체계 적용 극초음속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추정.

△1월 19일 = 동해에서 수중핵무기체계 '해일-5-23' 시험 주장.(합참 "무기개발 동향 지속 추적·확인")

▲1월 24일 오전 = 서해상으로 순항미사일 여러 발 발사.(北, 신형 전략순항미사일 '불화살-3-31형'이라고 발표.)

▲1월 28일 오전 = 동해 신포 일대에서 순항미사일 여러 발 발사.(北, 신형 전략순항미사일 '불화살-3-31형'이라고 발표.)

▲1월 30일 오전 = 서해상으로 순항미사일 여러 발 발사.(北, 전략순항미사일 '화살-2형'이라고 발표.)

▲2월 2일 오전 = 서해상으로 순항미사일 여러 발 발사.(北, 순항미사일 초대형 전투(탄두)부 위력시험과 신형 반항공(지대공)미사일 시험발사라고 발표)

△2월 11일 오후 = 240㎜ 조종방사포탄 탄도조종 사격시험.(합참 "관련 활동 실시간 추적·감시")

▲2월 14일 오전 = 원산 동북방 해상에서 순항미사일 '바다수리-6형' 여러 발 발사.

▲3월 18일 오전 =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추정 발사체 여러 발 발사.(北, 600㎜ 초대형 방사포 사격훈련이라고 발표)

▲4월 2일 오전 =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중거리급 탄도미사일 추정 비행체 1발 발사. 비행거리 600여㎞. 신형 고체연료 추진체계 적용 극초음속 IRBM 추정.

△4월 19일 오후 = 서해상에서 전략순항미사일 '화살-1라-3형' 초대형 전투부(탄두부) 위력시험 및 신형 반항공미사일(지대공미사일) '별찌-1-2형' 시험발사.(합참 "감시·추적했음")

▲4월 22일 오후 =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600㎜ 초대형 방사포 추정 미사일 여러 발 발사. 비행거리 300여㎞.

△5월 10일 = 240㎜ 조종방사포탄 시험사격.(합참 "북측 서해상으로 발사된 방사포 수 발 포착해 추적")

▲5월 17일 오후 = 원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SRBM 추정 비행체 여러 발 발사.

▲5월 27일 오후 =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서해 남쪽 방향으로 '북 주장 군사정찰위성' 추정 발사체 발사 후 북한 측 해상에서 다수 파편으로 탐지.

▲5월 29일~6월 2일 = 서해 서북도서를 향해 닷새 연속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전파 교란 공격.

▲5월 30일 오전 =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SRBM 추정 비행체 10여 발 발사. 모두 600㎜ 구경 초대형방사포(KN-25)로 추정.

▲5월 28~29일 = 대남 오물풍선 260여 개 식별.

▲6월 1~2일 = 대남 오물풍선 720여 개 식별.

▲6월 8~9일 = 대남 오물풍선 330여 개 식별.

▲6월 9일 오후 = 북한군 20~30명 중부전선 비무장지대(DMZ) 내 불모지 작업 중 군사분계선(MDL) 침범 후 우리 군 경고 방송·사격에 북상.

▲6월 9~10일 = 대남 오물풍선 310여 개 식별.

▲6월 18일 오전 = 북한군 20~30명 중부전선 DMZ 내 불모지 작업 중 MDL 침범 후 우리 군 경고 방송·사격에 북상.

▲6월 20일 오전 = 북한군 여러 명 중부전선 DMZ 내 불모지 작업 중 MDL 침범 후 우리 군 경고 방송·사격에 북상.

▲6월 24~25일 = 대남 오물풍선 350여 개 식별.

▲6월 25~26일 = 대남 오물풍선 250여 개 식별.

▲6월 26일 오전 =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1발 발사. 비행거리 250여㎞. 신형 고체연료 추진체계 적용 극초음속 IRBM 가능성.

pej86@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