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美 워싱턴DC서 6·25 74주년 기념행사…주미대사 "참전용사 희생에 경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美정부 대표 "한미동맹 더 강력해졌고, 지역·세계의 안보·안정에 기여"

뉴스1

6·25 한국전쟁 발발 74주년인 25일(현지시간) 미국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 코리안커뮤니티센터에서 조현동 주미대사, 6·25 참전용사들 및 유가족, 한미 재향군인 단체, 유엔군 참전국 대표, 미 정부 당국자 등 1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식 및 감사 오찬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2024.06.25.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워싱턴=뉴스1) 김현 특파원 = 6·25 한국전쟁 발발 74주년인 25일(현지시간) 미국의 수도 워싱턴DC에서 기념행사가 개최된 가운데, 조현동 주미대사는 6·25전쟁 참전용사들의 헌신이 한국의 자유와 평화, 번영, 민주주의의 기반이 됐다며 참전용사들의 희생에 감사와 경의를 표했다.

조 대사는 이날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 코리안커뮤니티센터에서 6·25 참전용사들과 유가족, 한미 재향군인 단체, 유엔군 참전국 대표, 미 정부 당국자 등 1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기념식 및 감사 오찬 행사에서 기념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조 대사는 "원조 수혜국이었던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경제대국 중 하나이자, 원조를 제공하는 글로벌 리더, 미국의 필수적인 동맹으로 변모했다"며 "이 모든 성공은 참전용사들의 봉사와 희생을 바탕으로 이뤄졌다"고 말했다.

뉴스1

조현동 주미대사가 6·25 한국전쟁 발발 74주년인 25일(현지시간) 미국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 코리안커뮤니티센터에서 열린 기념식 및 감사 오찬 행사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2024.06.25.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 대사는 "그러나 한국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고, 여전히 오늘날에도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지난주 러시아와 북한간 새로운 안보 조약 발표는 북한이 1950년 침공했었던 74년 전의 재앙을 섬뜩하게 연상시킨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들(북한)은 당시 러시아의 탱크, 탄약, 전투기, 물자를 사용했고, 시간이 흐른 지금 이들은 다시 하나로 뭉치고 있다"면서 "70여년 전 공산주의 연합이 부활했고, 격변의 한 축으로 새로이 자리매김했다"고 우려했다.

그는 "그것은 우크라이나에서 우리가 보고 있는 것처럼 우리 모두에게 위협을 제기하는 권위주의 세력의 극적인 발전을 상기시켜주는 것"이라고 했다.

조 대사는 "이러한 위협이 커지는 상황에서도 한미 동맹의 전망은 그 어느 때보다 밝기 때문에 우리는 민주주의와 자유, 인권을 수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1

6·25 한국전쟁 발발 74주년인 25일(현지시간) 미국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 코리안커뮤니티센터에서 열린 기념식 및 감사 오찬 행사장에 아직 귀환하지 못한 미군 포로 및 실종 장병을 추모하는 테이블이 마련돼 있다. 2024.06.25.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행사장에는 6·25 전쟁에 참전했다가 아직 귀환하지 못한 미 포로·실종 장병을 추모하는 테이블이 마련돼 눈길을 끌었다.

하얀색 테이블보로 덮인 테이블에는 미 육군과 해병대, 해군, 공군, 해안경비대의 모자가 놓인 가운데, 붉은색 장미 한 송이와 레몬 한 조각, 소금, 거꾸로 놓인 잔 등이 놓여 있었다.

하얀색 테이블보는 미 포로·실종 장병들이 국가의 부름에 응한 순수한 동기를, 붉은 색 장미는 사랑하는 가족과 친구를, 레몬 한 조각은 이들의 쓰라린 운명을 상징한다고 미군 관계자는 설명했다.

또한 소금은 실종자와 그 가족들의 눈물을, 거꾸로 놓인 잔은 실종된 전우들이 함께 축배를 들 수 없음을 의미한다.

뉴스1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 켈리 맥키그 국장이 6.25 한국전쟁 발발 74주년인 25일(현지시간) 미국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 코리안커뮤니티센터에서 열린 기념식 및 감사 오찬 행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4.06.25.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 대표로 참석한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 켈리 맥키그 국장은 자신의 부친이 한국전 참전용사라고 소개한 뒤 "오늘날 철통같은 한미동맹은 피로써 맺어진 것"이라며 "인천 앞바다에서, 수원 상공에서 미군과 한국군은 다른 파병국들과 함께 폭정을 극복하고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용감하고 단호하게 싸웠다"고 말했다.

맥키그 국장은 이어 "한미동맹은 더욱 강력해졌고, 지역과 세계의 안보·안정에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실종된 미군과 한국 군인들의 신원을 확인하는 작업은 도전적이고 복잡하지만, 필수적인 과제"라며 "돌아오지 못한 영웅들을 포함한 모든 한국전쟁 참전용사와 유가족에게 신의 은총이 함께 하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이날 오전 워싱턴DC 내셔널몰에 위치한 한국전쟁 참전 기념공원에선 한국전쟁에서 희생된 참전용사를 기리는 헌화 및 참배 행사가 진행됐다.

한미 참전용사들과 유가족, 재향군인 단체 관계자들과 함께 조 대사와 미국을 방문 중인 정동영·김병주·위성락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참여했다.

한미 양국의 국가가 연주된 뒤 참석자들은 헌화를 한 이후 나팔수의 '진혼곡' 연주에 맞춰 묵념했다.

뉴스1

조현동 주미대사(왼쪽 두번째)가 6.25 한국전쟁 발발 74주년인 25일(현지시간) 미 워싱턴DC 내셔널몰에 위치한 한국전 참전 기념공원에서 열린 헌화 및 묵념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위성락(왼쪽 3번째)·정동영(왼쪽 4번째)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도 함께 했다. 2024.06.25.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gayunlov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