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정성호 "이재명, 당대표 계속하기 힘들다 해…다만 대안이 없다"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the300]

머니투데이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최고위원들의 발언 동안 생각에 잠겨 있다. 2024.06.21. kkssmm99@newsis.com /사진=고승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최근 오랜 인연의 친명(친이재명) 인사인 정성호 민주당 의원에게 당대표 연임에 대한 부담감을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원은 이날 오전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한 3주 전쯤에 이 전 대표와 만나 국회의 여러 가지 현안들에 대해 전반적인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는데 당시 대표 연임 문제에 대해 본인이 굉장히 힘들다고 얘기했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이 전 대표가) 무엇이 힘들다고 했느냐'는 진행자 물음에 "당대표를 계속한다는 게 너무 힘들고, 지금까지 해 온 것들도 힘들고, 또 (연임을 하는 것이) 부담이 많이 된다고 얘기했다"고 답했다.

'연임 도전은 지금 거의 기정사실이 아니냐'는 진행자 말에는 "그 당시에는 저도 그렇고 당내 상황이 이 전 대표 외에는 당대표를 할 만한 사람이 없는 것이 아니냐, 당 안팎의 상황이 이 전 대표 없이 어떻게 민주당을 꾸려갈 수 있겠나 등의 이야기를 했었다"고 했다.

그러자 진행자는 '그렇다면 지금은 역으로 이 전 대표가 아닌 다른 사람이 (대표를) 해도 상관없다는 얘기가 성립되는 것 아니냐'고 물었다. 이에 정 의원은 "그렇지 않다"며 "지금이 22대 국회 개원 초기인데 초선 의원들이 다수이고 국가적인 상황도 어렵다. 이럴 때 당이 일사불란하게 움직여야 하는데 그런 면에선 이 전 대표외에 다른 대안이 없는 게 아닌가란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재 이 전 대표 외에 당대표 경선에 나오겠다는 사람이 있느냐'는 물음에는 "정치라고 하는 게 본인이 어떤 목표와 비전, 그리고 의지와 열정이 있어야 하는 게 아니겠나. 근데 그런 분들이 지금은 없다"고 답했다.

정 의원은 "현재로서는 이 전 대표가 가장 강한 후보이고, 가장 유력한 차기 (대권) 주자"라며 "다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차차기를 보면서라도 당의 젊은 분들이라든가, 중진들이 (전당대회에) 도전해봤으면 어떨까하는 생각도 해본다"고 덧붙였다.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황기선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정성호 의원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23.11.23/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황기선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는 또 이 전 대표가 대표직을 연임할 경우 2026년 지방선거 공천권은 행사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정 의원은 "현재 당헌에 의하면 (당 대표가) 대선 1년 전까지 사퇴해야 하기 때문에 저는 (이 전 대표가) 그걸 지키리라 생각한다"며 "(지방선거 공천권 행사는) 대표 임기를 연장할 수 있는 사유가 아니기 때문에 지방선거 공천을 위해서 대표가 사퇴 시한을 연장하는 선택은 안 하리라고 본다"고 말했다.

최근 최고위원 출마 선언을 한 후보자들이 이 전 대표를 칭송하는 '명비어천가'를 부른단 정치권 내 비판에 대해서는 "저도 별로 좋아 보이지 않았다"고 했다.

정 의원은 "최고위원으로서 민주당을 어떻게 혁신할 것이고 다음 지방선거와 차기 대선에서 승리하기 위해 민주당이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인지 자기의 비전과 가치를 제시해야 한다"며 "이 전 대표와 가깝다거나 이 전 대표와 함께 지방선거와 대선에서 승리하겠다는 이야기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 전 대표는 지난 24일 전당대회 준비를 위해 대표직에서 물러났다. 이 대표는 공식 출마 선언은 하지 않았으나 사퇴 당시 "출마하지 않을 것으로 확정했다면 사퇴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연임 도전을 시사했다.

오문영 기자 omy0722@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