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번스 주중미국대사, 중국 국가안전부 등이 미국의 공공외교 활동 방해하고 있다고 주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시민들을 가지 못하게 압력을 행사하거나, 참석한 중국 국민을 조사하는 등 위협하고 있다고 주장

파이낸셜뉴스

니컬러스 번스 주중 미국대사. 로이터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베이징=이석우 특파원】주중미국대사관 등 미국정부 주최의 행사에 중국 국가안전부나 다른 중국 정부 기관이 중국 시민들을 가지 못하게 압력을 행사하거나, 참석한 중국 국민을 위협하고 있다고 니컬러스 번스 주중 미국대사가 주장했다.

번스 대사는 25일(현지시간) 보도된 월스트리트저널(WSJ) 인터뷰에서 미·중 정상회담이 열린 작년 11월 이래 중국 국가안전부 등이 중국 시민들에게 가지 말라고 압력을 행사하거나, 참석한 중국 국민을 조사하는 등 위협한 주중 미국대사관 주최 공공 행사가 61건에 달한다고 말했다. 중국에서 미국 정부의 중국의 일반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공공외교 활동을 방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주중 미국대사관이 주최한 정신 건강 전문가 대담, 여성 기업가 정신 관련 패널 토론, 다큐멘터리 상영, 문화 공연 등 행사에 참석한 몇몇 중국인은 당국자들에 의해 심문을 받았고, 어떤 경우는 자택에서 밤늦은 시간에 조사를 받았다고 번스 대사는 주장했다. 그는 또 중국 정부가 중국 학생들의 미국 대학 진학을 어렵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중국 전역에서 열린 대학 진학 상담 행사에 대한 미국 외교관 참가를 취소함으로써 중국인 학생과 학부모에게 미국 대학을 홍보할 기회를 박탈하기도 했다고 그는 주장했다.

또 지난 2년 간 미국 측이 비용을 지원하는 인적 교류 프로그램에 참가자로 선발된 중국인 중 거의 절반에 달하는 수십명이 행사 참가를 취소하면서 중국 정부 당국, 학교, 회사 등으로부터의 압박을 사유로 거론했다는 것이다. 번스 대사는 이 같은 일들이 일회적인 것이 아니라 일상적이라면서 "(대사관이 주관하는) 거의 모든 공공 행사가 그와 같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것은 심각한 침해 행위"라며 "우리는 중국 정부가 재고하길 희망한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지난 3년간 중국 정부가 주중 미국대사관의 중국인 직원 채용을 허락하지 않아서 미국행 비자 신청 건에 대해 심사할 중국인 직원이 줄어드는 형편이라고 소개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측도 미국 정부가 중국 외교관들의 미국 내 특정 여행과 출장 등에 대해 사전 허가를 받도록 요구하는 등 이동에 제한을 가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국무부 대변인과 그리스 주재 대사,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주재 대사, 국무부 차관 등을 지낸 베테랑 직업 외교관 출신인 번스 대사는 2022년 4월부터 주중 대사로 재임 중이다.

june@fnnews.com 이석우 대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