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박물관·호수공원서 결혼식 올려볼까…공공시설 48곳 신규 개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제관계장관회의…청년 맞춤형 예식공간 제공

48곳 신규 개방…2027년까지 200곳 이상 계획

'공유누리' 검색·예약…꾸밈·식음료 업체도 한번에

뉴시스

[서울=뉴시스] 용산가족공원서 진행된 결혼식 모습. (사진=서울시 제공). 2021.12.17.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시스]용윤신 기자 = 하반기부터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등 48곳의 공공시설에서 결혼식을 올릴 수 있게 된다. 정부는 2027년까지 총 200개 공공시설을 개방해 청년들의 결혼비용 부담을 낮춰준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공공시설 추가 개방을 통한 청년 맞춤형 예식공간 제공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올해 3월 발표된 '청년친화 서비스 발전 방안'의 후속조치다.

예비부부들이 개성을 담은 특별한 결혼식을 올릴 수 있도록 지자체·공공기관 등이 보유한 시설을 맞춤형 예식공간으로 제공한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등 국립시설 5곳, 국립공원 야외공간 10곳, 세종 호수공원 등을 포함한 총 48개 공간을 신규 개방한다.

국립시설은 오는 10월부터, 공공기관, 국립공원, 지자체 등은 다음 달 1일부터 개방한다.

앞으로도 대국민 의견수렴 등을 통해 청년이 원하는 공간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2027년 말까지 200곳 이상의 공공시설을 예식공간으로 개방할 계획이다.

그동안 일부 공공시설을 예식공간으로 개방해 왔으나, 결혼을 준비하는 예비부부가 원하는 지역에 어떤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지 검색이 쉽지 않고, 공간 특성이나 이용 조건 등에 대한 안내도 부족하다.

이에 예비부부들이 공공 예식공간 관련 정보에 쉽게 접근해 원하는 공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공유누리' 홈페이지에서 통합 검색·예약서비스를 제공한다. 공유누리는 행정·공공기관의 시설과 물품을 유휴시간에 이용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에서 운영 중인 웹·앱서비스다.

뉴시스

[세종=뉴시스]공유누리 홈페이지.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공유누리 홈페이지에서 '예식', '웨딩' 등 키워드를 입력해 전국의 공공 예식공간을 한 번에 검색할 수 있다. '우리마을 예식공간 대관' 테마지도를 통해 원하는 지역의 공공 예식공간 및 하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주차장, 전기차충전소 등 편의시설 위치 등도 확인 가능하다.

각 시설별 이용금액, 수용인원, 피로연 가능 여부 등 상세한 정보를 조회한 후 원하는 장소와 대관 일자를 선택해 예약할 수 있다. 내달 1일부터 국립공원과 지자체 시설 등 80에 대한 검색·예약서비스를 제공하고, 추후 공공기관 시설 등 60여개 공간도 추가할 예정이다.

청년층의 선호와 개별 공간의 특성에 맞는 개성 있는 예식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 모델을 개발해 관련 기관 및 민간 업체에 제공한다.

예비부부가 식장 꾸밈·식음료 제공 업체를 별도로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도록 지자체와 협력 지역별 관련 업체에 대한 정보도 안내할 예정이다. 예비부부들의 경제적 부담을 낮추기 위해 시설 사용료 감면을 위한 법적 근거도 마련한다.

이번에 마련한 청년 맞춤형 예식공간 제공 확대 방안에 이어 결혼서비스 시장의 건전한 발전과 소비자 권리 보장을 위해 현재 진행중인 실태조사와 의견수렴 결과를 토대로 연내 결혼서비스 가격공개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뉴시스

[서울=뉴시스]



☞공감언론 뉴시스 yonyon@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