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오늘의 사건·사고

차량침수·고속도 2차사고 위험 운전자에 긴급대피 안내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이율 기자 = 오는 28일부터 여름철 집중호우나 태풍 등으로 인한 차량 침수와 고속도로 내 2차 사고 위험에 처한 운전자에게 휴대전화로 신속하게 대피하라는 안내가 시작된다.

연합뉴스

지하차도 밖으로 옮겨지는 침수 차량
(청주=연합뉴스) 최재구 기자 = 17일 오전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서 군 관계자들이 지게차로 침수 차량을 옮기고 있다. 2023.7.17 jjaeck9@yna.co.kr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차량침수로 인한 피해와 고속도로 2차 사고에 따른 피해예방을 위해 자동차보험사, 보험개발원, 손해보험협회, 한국도로공사와 함께 긴급대피알림시스템을 구축, 28일부터 차주를 대상으로 긴급대피알림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시스템 구축으로 침수위험을 인지한 보험사의 현장 순찰차나 고속도로 2차 사고 위험을 확인한 도로공사 상황실 직원 등이 위험에 처한 차량번호를 시스템에 입력하면, 시스템에서 직접 차주에게 대피 안내메시지를 발송하고, 전화 연결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동안 보험사들은 금융당국의 지도에 따라 집중호우·태풍 발생 시 차량 침수로 인한 보험계약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둔치주차장 등 침수 예상 지역을 자체 현장 순찰하고 차량 대피를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통해 안내해왔다.

한국도로공사도 폐쇄회로(CC)TV를 통해 고속도로 내 2차 사고 위험 차량이 확인될 경우 '긴급대피콜'서비스를 해왔다.

하지만, 침수 대피는 침수위험을 인지한 현장 순찰차가 속한 보험사 가입 고객에 대해서면 안내할 수 있었고, 고속도로 2차 사고 위험도 안내 대상이 하이패스 고객에 국한되는 등 대피 안내에 사각지대가 있었다.

금융당국은 이번 긴급대피알림시스템 구축으로 차량침수 및 2차 사고 위험에 처한 운전자에 대한 신속한 대피 안내가 가능해지고, 운전자도 위험 상황을 조기에 인지해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돼 인명·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보험업계가 여름철 집중호우 등에 대비해 둔치 주차장 등 침수위험 지역에 대한 현장 순찰을 강화하도록 하는 등 긴급 대피 알림시스템이 실효성 있게 운영될 수 있게 하겠다고 약속했다.

yulsid@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