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서울국제도서전 개막식 날 작가들 노동자 선언···“작가도 노동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작가노조 준비위원회 소속 작가들이 2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앞에서 “글쓰기도 노동이다” 라며 작가노동자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한수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470여개 출판사 및 출판 관련 단체가 참가한 서울국제도서전 개막일에 작가들이 출판사들을 향해 노동자로서 정당한 권리를 보장해달라고 요구했다.

작가노조준비위원회에서 활동하는 작가 10여명은 26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글쓰기도 노동”이라고 선언했다.

작가들은 “글쓰기 노동을 흔히 각자의 작업실, 각자의 책상을 기반으로 한 프리랜서 노동이자 독립적 노동이라 여기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면서 “한국 사회에서 사실상 글쓰기 노동은 불안정 노동, 하청 노동, 종속적 노동”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 출판계의 계약과 인세 지급 과정이 불투명하고 계약이 이행되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면서 “작가노동의 조건과 권리를 범사회적으로 담론화하고 제도적으로 정립하는 과정을 밟아나가려 한다”고 덧붙였다.

소설과 만화 스토리를 쓰는 전혜진 작가는 원고료를 제때 지급받지 못하거나 떼이는 경우도 많다면서 “모든 집필 노동자들을 위해 지금 노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소설을 쓰는 김홍 작가는 “작가로서 응당 노동조합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건, 작가의 권익을 소리 높여 말하기 위함도 있지만, 저 자신이 노동자라는 생생한 사실을 잊지 않기 위함이기도 하다”고 주장했다. 웹소설을 쓰는 위래 작가는 “국가는 작가들의 건강 통계를 만들라”면서 “웹소설 작가 중 3분의 1은 정신과에 내원하고, 3분의 1은 척추질환이 있으며, 3분의 1은 대사 관련 질병을 앓는다는 농담이 있을 정도”라고 질타했다.

작가들은 출판사 관계자들로부터 들은 비상식적인 발언들을 즉석에서 대자보 용지에 쓴 뒤 이를 찢어버리는 퍼포먼스를 진행하기도 했다.

작가노조준비위원회는 2023년 9월 ‘장르는 달라도 우리는 모두 집필노동자입니다’라는 주제의 집담회를 시작으로 작가노조의 필요성을 알리는 활동을 이어왔다. 소설, SF, 르포, 인문사회, 학술, 만화, 평론, 에세이, 번역 등 여러 분야의 글쓰기 노동자 40여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2025년 작가노조를 정식으로 출범시킬 계획이다.

이날 코엑스에선 국내 최대 규모 책 잔치인 서울국제도서전이 개막했다. 이번 도서전에는 해외 18개국 122개 출판사와 출판 관련 단체, 국내 350개 출판사가 참여해 마켓 운영, 도서 전시, 강연, 사인회 등 450여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경향신문

작가노조 준비위원회 소속 작가들이 2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앞에서 “글쓰기도 노동이다” 라며 작가노동자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한수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작가들 ‘노조’를 선언하다[플랫]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311101004001


정원식 기자 bachwsik@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