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무하유, GPT킬러 기능 업데이트… “GPT-4o 생성 문장까지 탐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연어를 이해하는 실용 AI 기술 기업 무하유가 GPT-4o 생성 문장까지 탐지할 수 있도록 ‘GPT킬러’ 기능을 업데이트했다고 26일 밝혔다.
ITWorld

ⓒ 무하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GPT킬러는 무하유가 지난해 9월에 국내 최초로 선보인 디텍트(Detect) GPT 솔루션으로, 문서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챗GPT가 작성했다고 의심되는 부분을 탐지한다. 지난 12년간 AI 표절검사 서비스 카피킬러를 운영하며 축적해 온 문서 데이터와 한국어 NLU(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노하우와 운영 철학을 접목시켰다.

무하유는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가장 최신의 챗GPT 버전인 GPT-4o에서 생성한 문장까지 탐지할 수 있도록 GPT킬러 기능을 고도화했다. 탐지 정확도 향상을 위해 챗GPT 각 버전에서 실제 사용자가 과제물을 생성할 때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프롬프트를 활용해서 대량의 과제물 및 자기소개서를 생성했다. 또한, GPT-4o로 생성한 과제물 데이터를 내부적으로 구축한 후 기존 챗GPT 모델에 대해서도 추가 학습을 진행해 모든 버전에 대한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켰다는 설명이다.

자체 성능 테스트 결과, GPT4-o가 쓴 문장에 대한 GPT킬러의 탐지 정확도는 0.9695로 나타났다. GPT3.5 터보 및 GPT-4 터보가 쓴 문장에 대해서도 각각 0.9807, 0.9824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숫자가 1에 가까울 수록 오류 없이 높은 정확도로 탐지했다는 의미다.

또한 무하유는 신규 버전의 챗GPT가 출시되면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GPT킬러의 자동화 파이프라인도 구축했다. 챗GPT 모델 업데이트에 따른 GPT킬러의 성능 하락을 자동 감지하고 보완할 수 있도록 모델 성능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필요한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했다고 업체 측은 설명했다.

GPT킬러는 무하유의 AI 표절검사 서비스 ‘카피킬러’, AI 서류 평가 서비스 ‘프리즘’ 등에 적용돼 있다. 논문 및 과제물, 자기소개서 등에 GPT 생성문이 포함돼 있는지 판단한다. 업체 측에 따르면 현재 중앙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세종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순천향대학교를 포함한 대학교 및 한국연구재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충남연구원, 한국고용정보원,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등의 연구기관에서 활발히 활용 중이다.

무하유 신동호 대표는 “해외에서는 디텍트GPT 솔루션으로 교사가 AI로 생성된 학생 작업을 감지하도록 돕는 것은 물론, 최근에는 정부 조달 기관, 보조금 작성 기관, 채용 관리자, AI 교육 데이터 라벨러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라며, “GPT킬러 역시 유즈케이스를 다양하게 확장함으로써 생성형 AI의 무분별한 사용을 막고,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길잡이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editor@itworld.co.kr

편집부 editor@itworld.co.kr
저작권자 한국IDG & ITWorl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