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Pick] 6·25 때 누나와 생이별한 3살 꼬마, 56년 만에 주름진 손 맞잡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6·25 전쟁으로 부모님을 잃은 뒤 소식이 끊긴 남매가 헤어진 지 56년 만에 극적으로 재회한 사연이 공개됐습니다.

25일 유튜브 채널 '서울경찰'에는 '6·25 전쟁 미아가 된 남매, 56년 만의 아름다운 상봉'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습니다.

영상에 따르면, 지난 4월 15일 70대 김 모 씨가 "6·25 전쟁 당시 헤어진 누나를 찾고 싶다"며 서울 서부경찰서를 찾았습니다.

김 씨는 경찰에 도움을 구하며 자세한 사연을 전했습니다.

김 씨가 3세, 누나가 15세일 때 전쟁으로 아버지를 잃고 미아가 된 남매는 유엔군에게 구조돼 서울의 한 보육원에 맡겨졌습니다.

그러나 김 씨가 갑작스레 입양되면서 남매는 생이별해야 했습니다.

전쟁이 끝나고 10여 년 뒤, 김 씨가 입양 간 집으로 누나가 찾아왔지만 스치듯 얼굴 한 번 본 게 전부였고 이를 마지막으로 두 사람은 또다시 헤어져 어느새 56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사연을 들은 여수민 서부경찰서 경사는 "김 씨가 사연을 말씀하시는데 상당히 안타깝고 꼭 찾아드리고 싶었다"며 곧바로 수사에 나섰습니다.

여 경사는 "당시 호적이 분명하게 등록되지 않았을 수 있는 시기여서 (누나의) 출생연도를 1936~1938년으로 설정해 추적했다"며 "그 결과 126명의 대상자가 나왔고, 사망자를 제외한 77명으로 압축돼 전국 65개 경찰서에 협조를 의뢰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약 한 달여간 김 씨의 누나로 추정되는 이들을 일일이 찾던 그때, 남매가 헤어졌던 장소가 일치하는 사람이 나타났습니다.

이에 경찰은 곧바로 질문 리스트를 만들어, 어떻게 가족과 헤어졌는지, 어디서 헤어졌는지, 생전 부모님 성함은 무엇인지 등 10가지 질문을 했고, 그에 대한 답변이 김 씨와 모두 일치했다는 점을 확인한 후 김 씨의 누나라고 확정했습니다.

그렇게 두 사람은 지난 11일 뜨거운 눈물을 흘리며 56년 만에 재회했습니다.

시간이 흘러 80대가 된 누나는 김 씨를 보자마자 부둥켜안고 "아이고, 그동안 어떻게 살았어"라며 울먹였고, 이에 김 씨는 "잘 살았어요. 누나"라고 답하며 주름진 손을 꼭 맞잡았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 씨는 "이산가족 만남 프로그램을 많이 봤는데, 나는 신청할 수 없겠구나 싶었다. 부럽지만 어떻게 할 수 있는 게 없었다"며 " 체념하고 있다가 경찰서에 '헤어진 가족 찾아주기'를 신청하니 한 두 달 걸린다고 하더라. 두 달이든 그 이상이든 괜찮다고 했는데 얼마 후에 연락이 왔다. 너무 감사했다. 진짜 감사합니다"라고 고개를 숙였습니다.

경찰의 ‘헤어진 가족 찾아주기’는 6‧25 전쟁이나 유아 시절 미아, 유기(고아), 혹은 해외 입양 등 불가항력적인 사유로 헤어진 가족을 경찰전산망 등을 활용해 찾아주는 민원 시스템으로, 인터넷 신청은 불가능하며 전국 경찰청과 경찰서 등에 방문해 접수할 수 있습니다.

(사진=유튜브 '서울경찰' 캡처)

신송희 에디터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