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러 "한국, 우크라에 무기 보낼 시 한러관계 돌이킬 수 없다"(상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북아 안보 위험 증가시키는 건 미국"

"한국, 미국 광적 의존 벗어나야"

뉴스1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교부 대변인이 기자회견 연단에 서 있다. 2023.04.04/ ⓒ 로이터=뉴스1 ⓒ News1 권진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예슬 강민경 기자 = 러시아 외무부가 우리 정부를 향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보내면 한국과 러시아의 양자 관계에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타스통신에 따르면 마리아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26일(현지시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법률포럼을 계기로 열린 브리핑에서 이같이 발언했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보내는 안을 재검토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러시아-한국 관계에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잘못된 조치"라며 "이에 대해 한국에 경고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무기와 군사 장비가 우크라이나 신나치주의자들에게로 이전돼 러시아 영토를 타격하고 민간인을 살해할 수 있는 만큼 러시아는 이를 두고 보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자하로바 대변인은 우크라이나와의 협력은 부정적인 결과만을 가져온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정권은 해를 끼칠 뿐"이라며 "우크라이나 정권 대표자들은 이미 전 세계 범죄 카르텔과 무기 재벌을 부유하게 만들고 있다"고 했다.

이어 "본질적으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데 들어가는 돈은 미국 정부에 의해 발행되지만, 그 돈은 실제로 누구의 돈이냐"며 "자발적, 혹은 비자발적으로 동원된 유럽연합(EU) 국가"라고 말했다.

또 자하로바 대변인은 "한국이 미국에 대한 광적인 의존에서 벗어나 미국의 속국이 되는 것을 멈추고 한반도의 현 상황을 현실적으로 평가하라"고 지적했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동북아 지역에서 안보 위험을 증가시키는 건 러시아나 북한이 아닌 미국과 동맹국들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서방 집단은 북한의 사회정치적 체제를 흔들고 국가 안보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강요할 희망을 포기하지 않는다"며 "대화 대신 대결의 길을 선택한 것은 미국"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한반도 주변 해결 과정이 교착상태에 빠져 상황이 위험한 벼랑 끝으로 치닫고 있는 데는 전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덧붙였다.

장호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20일 러시아와 북한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 체결을 규탄하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문제를 재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yeseul@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