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임신한 여성들이 자꾸 유산합니다"...'이것' 때문에 발칵 뒤집힌 日 마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일본에서 과불화화합물(PFAS) 수돗물을 사용했다는 피해 사례가 잇따라 나오자 당국이 전국 단위 전수조사에 착수했다. PFAS는 발암성 화학물질이다.

수돗물에 발암물질 '과불화학합물' 사용

26일(현지시간) '산케이신문' 등 현지 매체는 일본 정부가 지난 5월 전국 47개 도도부현 담당 부서 및 수도 사업자 등에 수돗물 오염 실태 파악을 요청하는 문서를 발송했다고 보도했다. 조사는 오는 9월까지 이뤄지며 조사 내용은 수돗물에서 검출된 PFAS 농도 및 정수정 정보다.

일본은 이전에도 PFAS와 관련한 조항을 수도 조사에 포함해 왔다. 그러나 올해처럼 전국 단위로 대대적인 조사를 진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PFAS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유기불소 화합물로, 프라이팬 코팅, 반도체 공정 등 여러 제조업에 쓰이고 있다. 이에 자연적으로는 분해되지 않고, 몸에 축적되기 쉽다. 특히 인체에 노출되면 암 등 각종 질환을 유발하는 발암 물질이기도 하다.

이에 최근 수년간 일본에서 관련 피해가 확산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카야마현의 요시비 주오마치 마을이 대표적인 피해 지역이다. 지난해 10월 일본 정부의 잠정 목표치인 1리터(ℓ)당 50나노그램(ng) 대비 약 28배에 달하는 1400ng의 PFAS가 검출된 것.

마을은 수돗물 사용을 중단, 근처 급수소에서 물을 길어 사용 중이다. 문제는 주민 상당수가 이미 수돗물에 노출됐다는 것이다.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혈액 중 PFAS 농도는 20ng/㎖로 알려졌다. 이에 일본 NHK 측이 현지 일부 주민의 혈액을 검사한 결과, 검사를 받은 27명 모두 이 수치를 웃돈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혈중 PFAS 농도가 362.9ng/㎖로 위험 수위에 도달한 한 60대 여성은 4년 전부터 이상지질혈증 진단을 받고, 약물 치료를 받고 있는 상황. 이상지질혈증은 PFAS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류되는 질환이다. 또 마을의 30~40대 여성 5명 중 3명은 유산을 경험했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가 "선진국 중 규제 가장 늦었다" 비판

현지 전문가들은 PFAS에 대한 일본 정부의 대응이 늦었다고 지적했다. 고이즈미 아키오 교토대 명예 교수는 "일본은 선진국 가운데 PFAS 규제가 가장 늦은 국가"라며 "수원이 마르면 농도 역시 높아지게 되므로, 결과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여러 차례 조사하고 수치에 따라 주민의 건강 조사도 실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국 환경보호국도 지난 4월 PFAS의 대표격 물질인 퍼플루오로옥탄산(PFOS), 퍼플루오로알킬(POFA) 취급에 대해 각국에 엄격한 기준을 마련, 대책을 세울 것을 요구했다.
#일본 #임신 #유산 #PFAS #과불화화합물

gaa1003@fnnews.com 안가을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