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구글 클라우드 "AI, 생산성은 물론 고객 지갑까지 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구글 클라우드 및 AI 기술 활용한 비즈니스 혁신 사례 공유
"생산성은 물론 매출까지↑…AI 덕분에 클라우드 업계 순위 뒤바뀌어"


이투데이

지기성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사장이 26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진행된 구글 클라우드 서밋 서울 2024 미디어 브리핑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AI)으로 생산성 증대를 넘어 돈을 벌 수 있을까. 구글 클라우드의 답은 '예스'다.

지기성 구글 클라우드 사장은 27일 구글 클라우드 서밋 서울 2024(Google Cloud SummitSeoul 2024)’ 전날 개최한 미디어 브리핑에서 "이제 AI 트렌드가 PoC(실증)에서 생산 쪽으로 넘어가고 있다"면서 "고객사 중에 AI를 통해 생산성 그리고 매출까지 확대된 케이스가 종종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지 사장은 AI가 "실질적으로 사용이 되고 있다"면서 컬리의 사례를 예로 들었다. 현재 컬리는 일부 고객에게 AI 서치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것이 실제 매출 증가로 이어졌다.

김슬아 컬리 대표는 서밋에서 이화영 LG AI연구원 상무, 이경종 엔씨소프트 상무, 김정섭 HD한국조선해양 AI 연구원등와 함께 기조연설 무대에 올라 구글 클라우드 AI와 제미나이를 비즈니스에 적용한 과정을 공유했다.

구글 클라우드는 클라우드에 연결된 다양한 AI 에이전트(Agent)를 선보였다. 노코드 앱 개발, 보안 운영, 영상 및 이미지 제작 등을 활용 분야가 무궁무진하다. 고객사는 구글 클라우드용 제미나이(Geminifor Google Cloud) 및 구글 워크스페이스용 제미나이(Geminifor Google Workspace)에서 구글의 자체 에이전트를 활용해 구축할 수 있다.

또 고객사는 생성형 AI 모델을 검색, 맞춤화, 증강, 배포 및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 버텍스 AI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모델을 택할 수 있다. 플랫폼은 최신 버전의 제미나이(Gemini), 클로드 3.5 소넷(Claude 3.5 Sonnet)과 같은 파트너사의 모델을 포함해 젬마(Gemma), 라마2(Llama 2), 미스트랄(Mistral) 등 130개 이상의 모델을 제공한다.

AI는 에이전트는 멀티모달(multi-modal) 정보를 이해할 수 있어 동영상과 오디오, 텍스트 정보를 함께 처리하고 다양한 입력값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카카오헬스케어의 경우 의료진이 수기로 기록한 데이터를 정제하는 데 생성형 AI를 활용했다.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는 “구글 클라우드의 가장 큰장점은 고객이 효과적인 모델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유연한 AI 플랫폼과 개방적인 오픈 모델 생태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며 "구글 클라우드 본사 및 한국 팀과의 빠르고 유기적인 협업을 통해 카카오헬스케어의 기술 비전 실현을 가속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구글 클라우드는 국내에서 삼성, HD현대, LG AI연구소, 엔씨소프트, 컬리, 카카오헬스케어, 코웨이 등과 협업하고 있다. 지 사장은 구체적인 고객사 수치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지만, "오늘 고객사를 대상으로 한 파트너 브리핑에만 350분이 참석했다"면서 "AI 덕분에 (클라우드) 업계 순위가 지금은 저는 뒤바뀌었다고 느낀다"고 말했다.

구글 클라우드는 CSAP(클라우드 보안 인증) 심사 결과를 기다리며 국내 공공 시장 진출도 준비하고 있다. 지 사장은 "한국은 굉장히 중요한 시장이기 때문에 투자를 이어나가고 있다"면서 "(정부 쪽과) 여러 채널을 통해서 이야기했고, 조만간 정부 쪽 내지 공공 단체와 좋은 협업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이투데이/안유리 기자 (inglass@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