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AI 챗봇 시대는 지났다" 구글클라우드, 'AI 에이전트' 공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 26일 구글클라우드 미디어브리핑

지기성 구글클라우드 코리아 대표 등 발표

"韓 기업들 생성형 AI 도입 효율 낮아"

"AI에이전트로 기업 혁신 서비스 돕겠다"

[이데일리 최연두 기자] “인공지능(AI) 챗봇의 틀을 깨는 새로운 형태의 통합 플랫폼 서비스가 트렌드인 시대입니다. 클라우드 기반 AI 에이전트로 기업들의 생산성을 높이고 혁신 서비스를 지원하겠습니다.”

이데일리

지기성 구글클라우드 코리아 대표가 지난 26일 서울 중구 서울신라호텔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구글클라우드 코리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기성 구글클라우드 코리아 대표는 지난 26일 서울 중구 서울신라호텔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AI 에이전트를 전격 공개하고, 기업 고객들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할 것을 강조했다.

이 AI 에이전트는 구축형 솔루션으로, 기업들이 이를 도입하면 자사 임직원과 고객 모두에게 더 빠르고 쉽게 생성형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구글클라우드는 고객, 직원, 창작자 등 세 가지 용도로 나눠 에이전트를 종류별로 설치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AI 에이전트는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정보를 함께 처리하며 여러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결혼을 앞둔 신부가 자신의 체형에 맞는 적합한 드레스를 쉽게 찾거나, 간호사가 교대 근무 시 환자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번 행사에서 지 대표는 한국 기업들이 생성형 AI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생성형 AI 도입 이후의 투자 수익률(ROI)이 높지 않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구글클라우드가 최근 국내 대기업 경영진과 IT 의사결정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인용하여, 대부분의 기업이 생성형 AI 사례를 확보했지만 ROI를 실현한 기업은 소수라고 밝혔다.

지 대표는 “기업의 장기적 성공을 위해 조직 전반에 걸친 생성형 AI 혁신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나, 도입 단계에서부터 실제 가치를 창출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며 “기업들이 생성형 AI 기술의 가치를 실현하고, 기술의 기대감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이데일리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가 지난 26일 열린 구글클라우드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사진=구글클라우드 코리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글클라우드는 이미 국내 기업과 스타트업을 포함한 수백 개의 고객사를 확보했다. 지 대표는 구글클라우드와의 시너지를 통해 이들이 생성형 AI 도입에서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지식 근로자와 소프트웨어(SW) 코딩 담당자의 업무 생산성 향상, 개인화된 대화형 고객 서비스 제공, 백오피스 프로세스 자동화 등의 분야를 대표적인 고객 성과로 언급했다.

지 대표는 “대규모로 생성형 AI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개방적인 엔터프라이즈급 AI 플랫폼이 필수적”이라며 “AI 스택 전반에 걸쳐 자사 솔루션 뿐만 아니라 파트너사의 솔루션까지 확장해 제공하는 기업은 우리가 유일하다”고 설명했다.

구글클라우드 고객사로 참여한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는 “구글 클라우드의 가장 큰 장점은 생성형 AI 발전의 근간을 제공해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객이 가장 효과적인 모델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유연한 AI 플랫폼과 개방적인 오픈 모델 생태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며 “구글클라우드 본사와 한국 팀과의 빠르고 유기적인 협업을 통해 카카오헬스케어의 기술 비전 실현을 가속화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