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AI로 범죄 예방' SK텔레콤, 경찰대 치안정책연과 MOU 체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첨단 ICT 역량에 치안정책 접목

'첨단 금융범죄 피해 예방' 공동 개발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텔레콤이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와 ‘인공지능(AI) 기반 범죄 예방 기술 협력’ 양해각서(MOU)를 27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두 기관은 이번 MOU 체결을 통해 AI 기술로 보다 안전한 사회를 이루자는 목표를 내세웠다. SK텔레콤의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역량과 치안정책연구소의 치안정책 및 범죄 관련 융·복합연구 역량이 합쳐져 급변하는 치안 환경과 신종 범죄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K텔레콤과 치안정책연구소는 첫 협업 과제로 첨단 금융범죄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AI 기술의 공동 개발에 나선다. 이어 최신 AI 기술 개발, 연구개발(R&D) 실증을 위한 업무 협조, 공동연구 개발과제 발굴·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 협조 등 긴밀한 상호 지원 협력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또 범죄현장을 담은 폐쇄회로(CC)TV에 비전AI를 접목시키는 등 기술 협력의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는 1980년 설립된 경찰대학 산하 치안종합연구기관이다. 치안정책에 대한 연구와 함께 치안 분야 과학기술역량을 더하는 융·복합 연구를 수행하며 경찰의 싱크탱크 역할을 한다.

충남 아산의 치안정책연구소에서 열린 이날 협약식에는 SK텔레콤의 양승현 글로벌솔루션테크 담당(CTO)과 이종민 미래R&D담당, 양승지 비전R&D담당, 경찰대학의 이인상 치안정책연구소장, 강용길 연구소발전TF팀장, 권태형 치안AI연구센터장 등 양측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양 담당은 “양측의 R&D 역량을 결합하면 점점 지능화되는 치안 문제를 해결하는데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회사가 보유한 AI 등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해 시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이 소장은 “지속적인 협력과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고 성과를 치안 현장에 적용해 국민 안전을 향상시키겠다”고 전했다.

진동영 기자 jin@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