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북한 "美 인신매매 보고서는 내정간섭…자국 인권 돌아봐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인권연구협회 연구사 기고 형식으로…"미국의 고질적 악습"

뉴스1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24일(현지시간)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2024년 인신매매 보고서' 발간과 관련해 연설을 하고 있다. 2024.06.24. ⓒ 로이터=뉴스1 ⓒ News1 김현 특파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유민주 기자 = 최근 미국 정부가 발표한 '2024 인신매매 보고서'를 두고 북한이 대학등록금 등 일부 내용을 반박하며 미국의 인권 문제를 역으로 비판했다.

27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리진 조선인권연구협회 연구사는 '인권의 정치화에 중독된 백악관의 정신착란증 진단서 '2024 인신매매 보고서''라는 글에서 해당 보고서에 대해 "미국이 다른 나라의 인권실태를 여론화하여 저들의 열악한 인권 실상을 가리는 한편 주권국가들에 대한 내정 간섭을 실현하기 위한 도구에 지나지 않다"라고 진단했다.

이어 리 연구사는 "미국의 각종 '인권' 모략문서들 중 하나인 연례적인 '인신매매 보고서'가 국제사회의 규탄과 배격의 대상이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또다시 고질적 악습에 충실했다"라고 지적했다.

리 연구사는 미국 보고서에서 '대학등록금을 내지 못한 학생들'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에 대해 "실수를 범함으로써 자기들의 주장이 완전한 허위임을 스스로 증명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 국가(북한)에서는 초등과 중등은 물론 고등교육부문에서도 무료 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며 사회적 교육 후원체계가 정연하게 갖추어진 것으로 대학등록금이라는 말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반박했다.

이어 "보고서 작성자들이 대한민국 실상을 지적한다는 것이 국호를 오기하지 않았는가 하는 의혹이 불러일으키고 있다"라고 조롱하기도 했다.

리 연구사는 '강제노동' 문제에 대해서도 "미 국무성이 우리(북한)와 이웃 나라 사이의 정상적인 인원 왕래를 '강제노동'과 결부시키면서 터무니없는 억측을 늘어놓았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주권 국가들 간에 친선과 단결의 유대가 강화됨에 따라 정치, 경제, 문화, 인적교류가 활발해지는 것은 당연한 순리이며 이것은 호혜와 평등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무슨 '강제노동'과는 인연이 없다"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명백히 다른 나라들의 인권문제를 거론할 초보적인 자격마저 깡그리 상실한 미국은 국제사회가 자국의 인권실태에 어떤 평가를 내리고 있는가를 돌이켜보아야 하며 가사 해결에 선차적인 관심을 돌려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앞서 미국 정부는 지난 15일(현지시간) 공개한 '2024 인신매매 보고서'에서 북한에 대해 "인신매매 근절을 위한 최소한의 기준을 완전히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며 "북한 정부는 인신매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어떠한 의미 있는 노력도 보여주지 않고 있다"며 최하위 등급인 3등급으로 분류했다.

북한이 3등급으로 분류된 것은 22년 연속이다. 3등급은 최소 기준을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하며 노력도 기울이지 않는 국가들로 분류된다.

youmj@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