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진짜 잔인한 여름 온다…취약지역 둘러봐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지구의 여름이 위험한 수준의 더위를 동반하게 될 것이라고 26일(현지 시각) 영국 이코노미스트지가 보도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평균 기온은 매달 기준으로 사상 최고기록을 이어간 것으로 조사됐다. 이 매체는 당장 지구 곳곳에서 이미 폭염으로 인한 피해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19일까지 진행된 이슬람권의 정기 성지순례 기간엔 사우디아라비아에 낮 최고기온 50도를 넘나드는 살인 더위가 찾아오면서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1300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인도 뉴델리에선 5~6월 사이 낮 기온 40도를 넘는 폭염이 40일 이어졌으며, 멕시코에서도 낮 기온이 45도까지 오르면서 원숭이 약 150마리가 열사병으로 폐사했다.

이런 온난화로 인한 인명피해는 지난 약 20년간 확대되는 추세다. 의학 저널 랜싯에 발표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00~2019년 전세계에서 폭염으로 사망한 인원이 연평균 48만9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코노미스트는 "이런 추세를 고려하면 이번 여름이 험난할 것으로 보인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고 짚었다.

폭염에 따른 경제적 손실 비용도 커지고 있다고 이 매체는 짚었다. 랜싯에 발표된 또 다른 조사에 따르면 2022년 무더위로 인한 전 세계 노동시간 손실 규모는 4900억 시간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된다. 이는 1991~2000년의 연평균 손실 규모보다 42% 가까이 늘어난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여름철 인프라 부족으로 폭염에 취약한 지역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아디이야 바리아탄 필라이 인도 지속가능한 미래 협업(SFC) 연구원은 "소득과 전기, 물 공급 등 세 가지 데이터가 가장 낮은 곳이 어디인지를 확인해야 한다"며 "그곳이 당신이 가야 할 곳"이라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지는 각국 정부가 폭염 대비책을 점검·보완해야 한다면서 스페인 마드리드의 사례를 모범답안으로 제시했다. 스페인 마드리드는 폭염에 대응해 수업 시간을 단축하거나 변경하고, 대중교통의 운행 빈도를 늘리는 한편 가정용 에어컨 업그레이드를 위한 보조금 지급 등의 대응계획을 수립해 놓은 상태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