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러시아 “한국 정부 ‘반러시아적’ 발언 용납 안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러시아 외무차관, 이도훈 대사 면담

“한국, 대결적 정책 재검토” 촉구

외교부 “이 대사, 엄중한 우려 표명”

전문가 “우크라 살상무기 지원은 마지막 카드”

경향신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9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북한 방문을 기념해 선물을 전달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0일 보도했다. 조선중앙TV 화면=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이 이도훈 주러시아 한국대사를 만나 “한국 정부 고위 당국자들의 ‘반러시아적’ 발언을 용납할 수 없다”라며 한국이 대결적인 정책을 재검토하라고 말했다.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지원할 가능성을 두고 “성급한 조치”라고 경고했다. 한국이 연일 북·러 조약 체결을 비판하는 강경 메시지를 내놓자 러시아 당국이 불만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동시에 한국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살상무기 지원을 견제하기 위한 의도로 해석된다.

러시아 외무부는 26일(현지시간) 루덴코 차관이 외무부 청사에서 이 대사와 면담했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러시아 측은 면담에서 “한국 고위 당국자들이 용납할 수 없는 반러시아적 발언을 했다”라며 한국이 한반도의 긴장 고조를 촉발하는 대결적인 정책을 재검토할 것을 촉구했다. 또 “수십 년 동안 쌓아온 건설적인 (한·러) 협력의 산물이 파괴되는 것은 현재 한국 지도부 탓”이라고도 했다. 러시아 측은 자국과 북한이 한반도의 평화·안보를 위협한다는 비판을 두고는 “근거 없는 비난”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이런 비난은 미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패권을 유지하려는 공격적 계획에서 국제사회의 관심을 돌리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한국 측이 국내는 물론 국제무대에서 러시아와 북한에 대한 비판 목소리를 이어간 것에 대한 반발로 풀이된다. 북·러 조약은 한국을 겨냥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것이 러시아의 공식 입장이다.

외교부는 27일 보도자료를 내고 이 대사가 루덴코 차관과 면담에서 북·러 조약에 대한 엄중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이 대사는 “북한의 군사력 증강에 도움을 주는 어떠한 협력도 우리의 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위”라며 러시아 측의 충분한 설명을 요청했다. 러시아 측은 한국의 대응에 유감을 표하면서도, 북·러 협력은 한국을 겨냥한 게 아니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러시아 측은 “조약은 오직 침략이 발생한 경우만을 상정한 방어적 성격”이라며 관련 조항 등을 설명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러시아 측이 자국의 강경 발언을 공개하긴 했으나, 이 대사와의 만남을 ‘초치’가 아닌 ‘면담’으로 표현한 점은 주목된다. 초치는 보통 항의성 행위에 붙이는 표현이다. 이 때문에 러시아 측이 한·러관계 관리를 위해 수위를 조절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한국 외교부는 지난 12일 주한 러시아대사를 초치해 북·러 조약 체결에 항의한 바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보통 러시아는 외교적 접촉을 할 때 면담과 초치를 구분한다”라며 “면담 내용과 분위기를 봐도 초치라고 보기엔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한국 외교부도 면담 결과 보도자료에서 “한·러는 이번 면담을 기초로 필요한 대화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는 내용을 담았다.

러시아 측이 한국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살상무기 지원을 막기 위해 강온 전략을 구사하는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앞서 전날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한국의 살상무기 지원 가능성을 두고 “러시아와 한국의 관계에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한국의 성급한 조치에 대해 경고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에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한·러관계에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도록 러시아 측이 실수하지 말 것을 경고한다”고 맞받았다.

정부는 미국 등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 등을 지원할 것을 요청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오는 7월 9~11일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하는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정상회의에 윤석열 대통령이 참석한다면 같은 요구를 받을 수 있다.

박상남 한신대 교수는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재건을 위해 결국 한국과 협력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며 “러시아가 조약과 관련해 한국 측에 설명하는 내용은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또 “우크라이나에 대한 살상무기 지원은 러시아가 북한에 핵·미사일 기술 고도화를 위한 기술을 이전하지 않는 한, 마지막 카드가 돼야 한다”라며 “섣불리 오판했다가는 감당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희완 기자 roses@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