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노트북 너머] AI 시대, 기사 쓰는 노동자의 쓸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기자의 덕목 중 하나는 깨끗하고 빠른 '워딩' 치기이다. 현장에서 일어나는 일을 놓치지 않고 빠짐없이 기록해야 한다. 워딩을 더럽게 치면 선배에게 핀잔을 듣거나 동료 기자의 차가운 눈초리를 받기 일쑤다. 한데 요즘 현장에서 워딩의 중요성이 흐려지는 것 같다. 워딩 하나하나를 받아 적기보다 네이버의 인공지능(AI) 회의록 관리 서비스인 클로바노트를 사용한다. 정치·법조 기자가 아닌 까닭도 있지만, 손목이 아릴 때까지 워딩을 치던 게 언제인지 까마득하다. AI는 어느새 신문기자에게도 필수적인 존재가 됐다.

AI의 도움으로 효율성은 높아졌다. 맞춤법 검사기를 사용해 오타를 수정하고, 영어의 난관에 부딪힐 때는 GPT와 파파고를 소환한다. 덕분에 아부다비의 100p짜리 법안을 3분 안에 요약하고, 미국에 있는 취재원에게 5분 안에 유려한 문장의 메일을 보낸다. 편리하지만, 동시에 기자로서 나의 쓸모를 생각할 수밖에 없다.

아직은 AI가 온전히 기사 쓰는 노동을 대체하지 못한다. 챗GPT가 작성하는 기사는 리드(첫 문장)가 너무 길다. 클로바노트는 기자들 사이에서 발음이 안 좋기로 유명한 정부 관계자의 말을 제대로 못 받아 적는다. 26일 구글 클라우드 데모 부스에서 만난 제미나이는 '잔소리 듣는 막내 기자' 이미지를 만들어 달라는 부탁에 오류를 내고 이미지를 작성하지 못했다. 여기저기 귀동냥하며 취재원과 함께 알코올로 밤을 지새우는 일도 아직은 인간 기자만이 할 수 있는 일이다. 좋은 건지는 모르겠지만, 아직 AI보다는 인간 기자의 인건비가 저렴하다.

기술 발전 속도가 너무 빠르다 보니 이것도 언제 뒤집힐지 모른다. 요즘 같은 미디어 환경 속에 기사 쓰는 노동자의 쓸모가 과연 얼마나 오래갈지 의문이다. 인프라 구축과 기술 투자도 중요하지만, AI가 만들어낼 부작용과 윤리 문제에 대한 논의도 중히 다뤄지길 바라는 이유다. 이를 다룰 AI 관련법은 아직 제정까지 갈 길이 멀어보인다. 국회 과방위는 산적한 IT 이슈보다 공영방송을 둘러싼 논쟁에 매몰돼있다. 정부는 이제 막 비전을 내세웠을 뿐,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지 않았다.

AI 시대, 기사 쓰는 노동자로서 나의 쓸모 역시 여기서 판가름날 것 같다. 빠르고 눈부시게 발전하는 기술사(史)의 한 자락을 채우는 일도 중요하지만, 나의 쓸모를 고민하고 나아가 사람의 쓸모를 위하는 것이 IT 출입 기자의 덕목이 아닐까 싶다.

[이투데이/안유리 기자 (inglass@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