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한국이 만든 車 맞아?”…모르면 역대급 결함, ‘넘사벽’ 제네시스 끝판왕 [최기성의 허브車]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무모한 도전? 이젠 무한 도전
한국 달항아리와 온돌서 영감
롤스로이스 뺨치는 K-기술력


매일경제

운전석 회전 시트와 코치도어를 적용한 네오룬 [사진출처=제네시스, 편집]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모르면 역대급 결함, 알면 역대급 실력”

현대차그룹의 럭셔리 브랜드인 제네시스가 벤츠·BMW를 넘어 롤스로이스·벤틀리와도 경쟁할 수 있는 ‘끝판왕 후보’를 선보였다.

명차 브랜드 기술력의 상징이자 무모하게 흉내내면 역대급 결함으로 이어지는 코치도어까지 완벽하게 적용해 ‘케이(K)-기술력’까지 뽐냈다.

제네시스는 27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4 부산모빌리티쇼’에서 초대형 전동화 SUV ‘네오룬(NEOLUN) 콘셉트’를 아시아 최초로 전시했다.

네오룬은 디자인과 기술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제네시스의 무한한 가능성과 미래 방향성을 보여주는 콘셉트 모델이다. 지난 3월 미국 뉴욕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됐다.

매일경제

부산모빌리티쇼에 아시아 최초로 전시된 네오룬 [사진출처=제네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차명은 새롭다는 의미의 ‘네오(Neo)’와 달을 뜻하는 ‘루나(Luna)’를 조합했다. 기존 럭셔리 차량과 차별화되는 제네시스만의 미래 지향적인 혁신 가치를 제공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한국을 대표하는 예술품 중 하나로 시간이 지나도 변치 않는 아름다움을 간직한 달항아리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상엽 현대 제네시스 글로벌 디자인담당 부사장은 “네오룬은 가장 순수하면서도 완벽한 방식으로 제네시스만의 우아함을 반영한 모델”이라며 “달항아리처럼 비울수록 채워지는 가치와 시간이 흘러도 변함없는 품격을 네오룬에 담았다”고 소개했다.

네오룬, 달항아리처럼 꾸밈없이 단아
매일경제

34억원에 낙찰된 달항아리 [사진출처=서울옥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네오룬 외관은 꾸밈없이 단아한 달항아리를 연상시킨다.

조선 후기 백자를 대표하는 달항아리(백자대호)는 화려하지 않지만 온화한 색감, 유려한 곡선과 볼륨감, 넉넉한 공간감을 추구했다. 단순하지만 오래 봐도 질리지 않는다.

네오룬도 꾸밈없이 깔끔하면서 볼륨감이 느껴지는 단아한 디자인을 채택했다. 선과 면을 단순화하고 이음새도 줄이면서 불필요하거나 과도한 장식을 배제한 효과다.

넉넉한 공간감을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앞뒤 도어의 중간에 있는 기둥(B필러)을 없앴다. 필러는 차체 강성에 영향을 준다.

차체 강성이 취약한 측면에 위치한 B필러가 없으면 충돌 안전성이 떨어진다. 탑승자 생명도 위협한다.

B필러가 손상된 채로 출고됐다면 운행할 수 없는 심각한 결함으로 여겨진다.

반대로 기둥을 없앤 ‘필러리스’는 차체 강성과 충돌 안전성을 유지해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췄다는 증거가 된다.

매일경제

코치도어를 적용한 롤스로이스 팬텀 [사진출처=롤스로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B필러리스는 탑승할 때 편안함과 개방감을 제공한다. 거치적거리는 기둥을 없애서다. 공간도 더 넓어 보인다.

롤스로이스 팬텀·고스트처럼 앞문과 뒷문이 서로 마주 보며 열리는 코치도어도 적용했다.

전동식 사이드 스텝은 차량 문이 열릴 때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탑승자가 차량에 더 쉽게 타고 내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차량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노출되지 않아 차체와 일체화된 외관 디자인을 유지시켜 준다.

매일경제

운전석 회전 시트와 코치도어 [사진촬영=최기성 매경닷컴 기자/부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m가 넘는 크기까지 감안하면 쇼퍼드리븐카(운전기사가 따로 있는 차) 역할도 담당한다는 뜻이다.

사이드미러는 나뭇가지처럼 얇다. 아우디 Q8 e트론 콰트로 고급 트림처럼 거울 대신 카메라가 달린 버추얼 사이드미러를 채택해서다.

외관 컬러는 한국의 밤처럼 고요하면서도 세련된 감성을 전달할 수 있는 ‘미드나잇 블랙 앤 마제스틱 블루’ 투톤을 적용했다. 웅장하면서도 단아한 이미지다.

일체화된 전후면 램프, 보조제동등, 팝업 타입 루프랙 등을 통해 견고하면서도 단단한 매력도 놓치지 않았다.

‘온돌’ 품은 네오룬, 달리는 사랑방
매일경제

실내 디자인도 공간도 럭셔리 정수를 보여준 네오룬 [사진출처=제네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내 공간은 손님을 존중하고 정을 나누는 한국 고유의 ‘환대(Hospitality) 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탁 트인 개방감을 느낄 수 있는 B필러리스 코치도어를 시작으로 긴 휠베이스를 활용한 넓은 실내는 탑승객에게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한다.

1열 시트는 회전(Swiveling) 기능을 통해 정차 때 탑승객이 공간의 실용성을 누릴 수 있도록 했다.

대화면 가변 디스플레이와 천장에서 펼쳐지는 후석 플렉스 디스플레이는 오감만족을 제공한다.

한국의 전통 난방 방식인 온돌에서 영감을 받은 복사열 난방 시스템도 적용했다.

차량 내부의 대시보드와 도어 트림, 바닥, 시트백, 콘솔 사이드 등에 복사난방 필름을 부착해 저전력 고효율 난방이 가능하다.

매일경제

네오룬 측면 [사진촬영=최기성 매경닷컴 기자/ 부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내에는 ‘로얄 인디고’ 컬러를 적용한 캐시미어와 천연 안료인 쪽으로 염색한 ‘퍼플 실크’ 컬러의 빈티지 가죽으로 깊이 있는 인테리어 분위기를 연출했다.

바닥에는 어두운 계열의 리얼 우드를 적용해 고급스러움을 강조했다.

내부에 설치된 사운드 시스템은 음향 성능뿐 아니라 디자인 측면에서도 차량의 미적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트위터, 미드레인지, 우퍼, 서브우퍼 등을 최적의 위치에 배치한 ‘사운드 아키텍처’를 통해 풍성하고 입체적인 음향을 제공한다.

차량 전면에는 ‘크리스탈 스피어 스피커’는 음악을 들을 때는 고음역대를 담당하는 트위터 스피커로 회전한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실내 크리스탈 오브제가 된다.

매일경제

네오룬 후면 [사진출처=제네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네오룬은 한국의 ‘열린 방 문화’를 대표하는 사랑방도 지향했다. ‘방’은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 아이콘이다. 단순히 잠만 자는 공간이 아니라 문화 공간이다.

전통 가옥에서나 근대 가옥에서도 안방, 사랑방, 건넛방, 골방, 다락방, 주방, 큰방, 작은방 등 집 안에 있는 대부분 공간은 방으로 연결됐다.

사랑방은 방 중에서도 가장 다목적으로 사용된다. 잠만 자는 공간이 아니다.

안방보다 작지만 바깥세상과 연결되는 공간이다. 바깥주인이 거주하며 손님을 접대하는 응접실이자, 서재이자, 휴식처이며 작업 공간이자 문화 공간이다.

사랑방은 단촐하면서도 단아하다. 가구를 최소화해 공간감을 넓히면서도 아늑함을 추구해서다. 제네시스가 네오룬의 실내 공간의 주제를 ‘환대’라고 표현한 이유다.

매일경제

네오룬 정면 [사진촬영=최기성 매경닷컴 기자/ 부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네오룬은 한국차 브랜드가 다른 브랜드를 벤치마킹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글로벌 자동차 시장을 선도할 기술력과 실력을 갖췄다는 것을 입증하는 모델이다.

아울러 한국 전통 문화를 미래지향적으로 해석하며 자동차 분야에서도 ‘K-기술력’의 위상을 높여 자동차 한류를 만들겠다는 의지도 네오룬에 담겼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