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엔씨 윤송이 이사장 "지혜로운 AI 활용, 인간의 창의성 중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윤송이 NC문화재단 이사장이 27일 NC문화재단 사옥에서 열린 '페어(FAIR) AI 2024' 컨퍼런스에서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NC문화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송이 NC문화재단 이사장이 "AI(인공지능)를 지혜롭게 활용하기 위해선 인간의 창의성이 중요하다"며 "AI는 인간의 창의성을 위협하는 것이 아닌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8일 NC문화재단에 따르면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KAIST)과 지난 27일부터 이틀간 NC문화재단 사옥에서 개최한 '페어(FAIR) AI 2024' 첫날 기조강연에서 윤 이사장은 이같이 밝혔다. 이 행사에는 AI 연구자, 개발자, 교육자 등 250여명이 참석했다. 컨퍼런스는 AI 기술의 올바른 개발과 사용을 위해 필수적인 'AI 윤리'를 집중적으로 다뤘다.

윤 이사장에 이어 연단에 선 아구스틴 라요 MIT(매사추세츠공대) 인문예술사회과학대학장은 "AI의 발전 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지금 행동해야만 한다"며 "MIT는 기술적인 면뿐만 아니라 경제, 정치, 사회, 윤리적 측면도 깊게 이해할 수 있는 공학자를 양성하는 것에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 이노베이션 센터장이 '초거대 생성 AI 시대의 AI 안정성과 책임성'을 주제로 강연이 이어갔고, 오카 미즈키 쓰쿠바대 교수는 '인간의 창의성과 AI의 창의성'을 주제로 다뤘다. 강연을 마친 연사들은 임용 서울대 교수의 진행 하에 인간과 AI의 균형 있는 공존 방향을 모색하는 토론을 했다.

컨퍼런스 둘째 날은 컴퓨터 공학과 인문학, 사회과학이 결합된 다학제적 AI 윤리 교육인 '임베디드 에틱스'(Embedded EthiCS)에 주목했다. 노유란 NC문화재단 사업팀장이 임베디드 에틱스에 대한 재단의 비전과 방향성을 설명했다.

스탠퍼드대에서 인간중심의 AI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제임스 랜데이 교수는 "진정한 인간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AI 개발이 사용자 중심, 커뮤니티 중심, 사회 중심이 돼야 한다"며 "디자인, 사회과학, 인문학, 의학이나 법률 영역의 전문가를 포함한 다학제적 팀이 초기부터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이사장은 "인간과 AI의 균형 있는 공존을 위해서는 AI를 개발하고 사용하는 이해관계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논의가 필요하다"며 "이번 컨퍼런스가 AI 윤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다가오는 AI 시대를 본격적으로 준비하는 기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NC문화재단은 2012년 엔씨소프트 창립 15주년을 맞아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사회적 책임활동을 위해 설립한 비영리 재단이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우리 사회의 질적 도약을 위한 가치 창출'이라는 방향성을 가지고 다양한 사회공헌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김승한 기자 winon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