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4 (목)

백척간두 회사에 '총파업' 내민 노조…삼성 반도체 라인 운명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삼노, 연봉협상 비서명 조합원 임금인상 등 요구…8일 총파업 예고

파운드리·HBM 경쟁력 뒤처져 '위기'…"전삼노 파업 동력 미지수" 관측도

뉴스1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연차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창사 이래 첫 파업에 돌입한 지난 6월 7일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 앞에 노조 측의 시위용 트럭이 세워져 있다. 2024.6.7/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주평 기자 = 삼성전자(005930) 최대 노동조합인 전국삼성전자노조(전삼노)가 사측과 끝내 교섭을 타결하지 못하면서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총파업을 벌이겠다고 예고했다. 삼성전자가 AI(인공지능) 반도체 대응에 뒤처지면서 위기론이 대두되는 가운데 이번 파업으로 반도체 생산 차질까지 빚는다면 경쟁력에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전삼노는 전날(1일) 사측에 노조의 요구안을 전부 수용할 것을 요구하면서 오는 8일부터 무임금·무노동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선언했다. 노조 요구안은 △2024년 연봉협상에 서명하지 않은 조합원 855명에 대한 높은 임금 인상률 적용 △성과급 기준 개선 △유급휴가 확대 등이다.

삼성전자 노사는 지난달 14일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사후 조정을 신청한 후 세 차례 조정 회의를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입금교섭 타결 전 비조합원 조정 결과 발표 지양 및 2025년 임금교섭 중 노사의 사전조정 신청 시 동의 △임직원 대상 50만 원 여가포인트 지급 △휴가 의무 사용일수 2일 축소(재충전 휴가 2일 미사용 시 보상) △회사 경쟁력 제고를 위한 노사 협력 등 조정안이 나왔다.

노조 집행부는 지난달 28일 유튜브 라이브 방송과 홈페이지를 통해 내용을 공유했으나, 노조원들이 강경하게 반발했고 전날까지 노조 홈페이지를 통해 찬반 의견을 수렴한 결과 조정안 거부로 뜻이 모였다. 전날 늦은 오후에는 전영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반도체) 부문장(부회장)과도 만나 노조 측 요구안을 전달했지만 결국 협상이 결렬됐다.

전삼노는 지난달 7일 집단으로 연차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삼성전자 창사 이후 첫 파업을 진행했다. 현충일(6월6일)과 주말을 앞뒤로 두고 하루만 진행한 파업은 노조원 참여가 저조한 것으로 알려져 생산 차질은 없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사측이 요구안을 받아들일 때까지 파업을 진행한다고 예고한 만큼, 파업이 장기화한다면 생산이 실질적으로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최근 삼성전자가 메모리, 파운드리 등 반도체 사업 전반에서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는 점에서 타격이 더 클 수 있다.

뉴스1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 조합원들이 29일 서울 강남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파업 선언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4.5.29/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AI를 구동하기 위한 핵심 메모리 반도체로 꼽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주도권을 경쟁사에 뺏겼고,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부도 1위인 대만 TSMC를 추격하는 데 갈수록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삼성전자는 HBM 개발은 물론 파운드리, 시스템LSI, 어드밴스드패키징(AVP)에 이르는 '턴키'(일괄수주) 솔루션, 2나노 공정 경쟁력 강화 등으로 돌파구를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연구·개발과 신사업 추진 등 갈 길이 바쁜 상황에서 노사 갈등으로 인한 혼란에 더해 생산 차질은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다만 전삼노가 총파업을 통해 발휘할 수 있는 영향력이 제한적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블라인드 등에 따르면 전삼노 집행부의 노조원(약 2만 8000명) 대상 조정안 설문조사에서 응답률은 27%에 그쳤고, 그중 조정안 거부 의견은 69% 수준으로 알려졌다. 투쟁 활동을 주장한 노조원은 전체 인원의 약 20% 수준인 셈이다.

오는 8일 예고한 총파업에서 실제 참여 인원이 저조할 경우 집행부가 투쟁을 이어갈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 총파업 시작까지 6일을 남겨둔 만큼 노사 간 물밑 접촉을 통해 극적 타결에 이를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다.

jupy@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