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6 (토)

이슈 끊이지 않는 학교 폭력

“우리 아이가?” 초등생 4.6% 경계선지능아동 추정, 조기발견 나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학습과 발달에 어려움을 겪지만 명확한 판단이 어려운 탓에 정책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경계선지능인에 대해 정부가 처음으로 종합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경계선지능 조기발견 체계를 구축하고, 맞춤형 학습과 직업교육까지 연계하는 방안이다. 전체 인구의 13.59%가 경계선지능인으로 추정되고, 초등학생의 4.6%가 경계선지능 위험·탐색군에 해당한다.

교육부는 3일 경계선지능인에 대한 정부 최초의 종합대책인 ‘경계선지능인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보통 지능지수(IQ) 71~84에 있는 이들을 경계선지능인으로 간주한다. 교육부는 “경계선지능인은 전체 인구의 13.59%인 697만명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다만 현재 국내에서 경계선지능인을 구체적으로 정의한 법조항은 없다.

최근 공개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조사를 보면, 초등학생의 4.6% 가량이 경계선지능 위험·탐색군에 해당한다. 경계선지능아동은 학습 부진, 일상생활 적응 어려움 등을 겪는다. 초등학교 6학년인 경계선 지능 위험군의 86.9%가 기초학력에 미달했다. 평가원은 “손가락을 이용한 수 세기시 손가락을 어떻게 접고 펴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고 했다.

정부는 경계선지능을 조기에 발견할수록 학습과 발달의 개선을 이뤄낼 가능성이 커진다고 본다. 실제 경계선지능아동을 둔 보호자들은 자녀에 대한 ‘판단’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는다. 정보가 덜 알려져 있고, 조금 학습이 느린 아이로 간주할 수 있어서다. 교육부는 교육컨텐츠, 학부모 가이드북 등을 통해 학부모의 관찰 역량을 제고할 방침이다. 경계선지능인 선별도구를 개발하고 실태조사에도 나선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계선지능인의 조기발견이 더딘 이유는 정보 부족, 낙인효과 우려 등 복합적이다. 서울시가 올해 2월 발간한 <2023년 서울시 경계선지능인 실태조사>를 보면, 경계선지능인의 보호자 4명 중 1명(25.4%)은 ‘진단기관, 방법, 절차 등 정보부족’을 겪는다고 답했다. ‘주변인의 부정적 인식’(23.8%)과 ‘진단결과의 두려움’(22.5%)을 언급한 보호자도 적지 않았다. 교육부는 “인식개선 캠페인에도 나설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 경계선지능인을 위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도 추진한다. 경계선지능인 부모의 심리·정서, 육아 상담을 강화하고, 교실 내-학교 안-학교 밖의 ‘3단계 안전망’도 구축할 계획이다. 교실 내 개별 학습, 협력 수업을 강화하고, 학교 내 관리자와 보건·상담·담임교사가 모인 다중지원팀이 돕는다. 학교 밖에선 교육지원청 산하 학습종합클리닉센터을 통해 학생을 지원한다.

교육부는 학교-교육청-지역사회가 함께 경계선지능인 맞춤형 학습 지원을 하는 체제도 구축한다. 지금까지 경계선지능학생 지원은 지자체와 교육청으로 나뉘어 이뤄졌다. 광역지자체(15곳)와 기초지자체(66곳), 시도교육청(12곳)에서 경계선지능인 또는 느린학습자 관련 조례를 제정해 부모 동의 하에 학습지원·상담지원을 해왔다.

경계선지능인의 직업생활과 연계도 강화한다. 경계선지능인을 자녀로 둔 부모들 사이에선 “자녀의 취업과 경제활동을 통한 자립이 가장 큰 걱정거리”라는 의견이 많다. 교육부는 경계선지능인의 학습 속도를 고려한 직업교육위탁과정 개설, 지역 내 경계선지능인 특화형 진로체험 개발 등에 나선다. 교육부 관계자는 “경계선지능인의 부모님들은 상당수 자녀가 빨리 자립하기를 바라고, 경계선지능학생 본인도 직업 갖기를 원하는 이들이 많다”며 “장기간 훈련·반복 학습이 필요하기 때문에 교육기간을 늘려 느리게 훈련하는 방식의 직업교육·훈련 과정을 만들 것”이라고 했다.

김원진 기자 oneji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