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7 (일)

“제4이통사 취소, ‘전국 로밍 불가’ 법률 자문 때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 의혹 제기

경향신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스테이지엑스 로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테이지엑스가 추진한 28기가헤르츠(㎓) 주파수 기반 제4이동통신 사업에 대해 법률 전문가들이 사업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의견을 정부에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 정책 실패 논란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스테이지엑스에 대한 제4이통사 후보자격 취소가 신규사업자의 ‘로밍 의무허용’이 불가하다는 법률 자문에 따른 조치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7월 ‘통신시장 경쟁촉진 방안’을 통해 신규사업자가 자사 네트워크 미구축 지역에서 기지국, 코어망 등 타사 네트워크를 공동이용(로밍)할 수 있도록 개선하겠다고 발표했다. 많은 비용이 드는 28㎓ 인프라 구축 부담을 덜어주려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스테이지엑스는 인구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28㎓ 5G망을 구축하고, 나머지 지역에선 기존 이동통신 3사의 5G망을 빌려 서비스에 나서기로 했다.

과기정통부가 이해민 의원실에 제출한 검토 의견은 “로밍은 로밍 제공 사업자가 로밍 이용자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성립할 수 있는데, A사(스테이지엑스)는 전국 사업자로 보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로밍이 아닌 도매 제공 형식(알뜰폰)에 해당한다”고 해석했다.

현실적으로 스테이지엑스가 28㎓ 전국망 구축이 어렵고, 일부 구역에서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기 때문에 로밍 이용 사업자로 인정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존 통신사와 동일한 지위에서 망을 이용하는 사업자가 아니라 알뜰폰처럼 망을 임대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법률 전문가들은 “과기정통부 장관이 A사를 로밍 이용 사업자로 고시하려면 ‘A사가 28㎓ 서비스 가능 단말기 이용자에게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로 한정해야만 로밍 이용 사업자로 인정될 수 있다”고 했다. 현재 28㎓ 주파수 지원이 가능한 단말기는 국내에 없다.

법률 검토 의견에는 “이동통신 시장의 경쟁을 유발할 여건을 갖추지 못한 A사에게 전국적인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해 로밍을 요구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 이동통신 시장의 경쟁 촉진을 위한 것인지 여부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우려도 담겼다.

경향신문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상원 스테이지엑스 대표는 지난 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28㎓는 사업성을 위한 주파수라기보다는 고객 경험을 위해 투자가 필요한 영역”이라며 “기술 혁신으로, 투자를 기반으로 로밍에 대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업 콘텐츠가 부족한 28㎓보다는 기존 통신3사의 3.5㎓ 대역을 활용해 서비스 경쟁력을 갖추겠다는 구상으로 볼 수 있다. 기존 알뜰폰과 크게 다를 바 없다는 비판이 제기됐던 이유다.

이해민 의원은 “정부가 제대로 된 준비 없이 신규사업자 도입을 급하게 추진해놓고, 막상 법률 자문에서 로밍 의무허용이 불가하다고 하니 후보 자격 취소를 발표해 뒷수습하고 있다”며 “앞뒤가 맞지 않는 모순투성이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스테이지엑스에 대한 주파수 할당 취소는 주주 구성과 지분 비율 등 법인 동일성 문제에 따른 처분”이라고 밝혔다. 이어 “로밍제도 취지가 한 번에 전국망 구축이 어려우니 기존 사업자 망을 이용해 서비스를 하면서 점차적으로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는 것”이라며 “스테이지엑스 측에서 이통사 망 이용 도매대가를 제공하는 협상을 하면서 ‘로밍’이라고 표현해 개념을 명확히 하려는 취지로 법률 자문을 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문규 기자 sobbell@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