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0 (금)

이슈 오늘의 사건·사고

잇단 리튬배터리 화재에… 서울 버스·지하철 전용소화기 비치 [오늘, 특별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市, ‘대중교통 수단별 화재 관리 방안’ 마련·발표

최근 리튬배터리 화재가 잇따르며 시민 불안이 고조된 것과 관련, 서울시가 대중교통 수단들에 리튬배터리 화재 전용 소화기인 ‘D형 소화기’를 비치하기로 했다. 각 교통 수단 충전시설과 주차장 등엔 방재시설을 설치해 대형 화재로 이어지는 걸 막고, 운전자 교육과 관계기관 합동 훈련도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세계일보

서울의 한 전기 버스 공영차고지에서 화재를 가정한 소방훈련이 진행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는 리튬배터리를 장착한 버스와 지하철, 택시 등 대중교통 수단별 화재 관리 방안을 마련해 8일 발표했다. 개인형 이동장치(PM) 화재관리 방안도 담겼다. 현재 서울 지하철역사 내에 리튬배터리 장착 모터카는 34대, 전동차는 484대가 있다. 전기 시내버스는 1402대, 전기 마을버스는 302대, 전기 택시는 6793대다. 관련 시설로는 전기 버스 공영차고지 19곳, 법인택시 차고지 53곳, LPG 충전소 3곳, 공영주차장 54곳 등이 있다.

리튬배터리는 화학 반응성이 높아 화재에 취약하고 연쇄 폭발로 진화가 어렵다. 특히 물과 닿으면 발열, 폭발 등을 일으켜 마른 모래나 D형 소화기로 꺼야 한다. 시는 얼마 전 지하철 3호선 도곡역∼대치역 구간 선로에서 불이 나 논란이 된 리튬배터리 탑재 모터카의 안전성이 확보될 때까지 디젤 엔진 방식으로 변경 운행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모터카 전량(34대)에 D형 소화기를 배치한다. 이달 안에 조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세계일보

리튬배터리 화재 전용 소화기인 ‘D형 소화기’. 서울시 제공


내년 3월까지는 리튬배터리함 내부 온도를 감지해 일정 온도 이상 발열시 전용 소화액을 배출하는 자동소화설비와 배터리룸 내 소화용 질식포 자동설비장치 등 소방시설을 대폭 확대한다. 내년 말까지 리튬배터리 화재 대응 매뉴얼을 제작해 각 시설·관계자들과 공유하고, 철도 차량용 배터리 기술 기준 제정 등 정부에 제도개선을 지속적으로 요청한다.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확보된 배터리 형식으로 변경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향후 전기 시내버스·마을버스 1700여대에도 D형 소화기를 비치하고 운수회사별 전기안전관리자를 선임해 안전운행환경을 조성한다. 전문업체를 통한 정기점검을 실시해 현장관리 기준을 강화하고, 화재시 신속한 초동조치가 가능하도록 운전자 교육도 실시한다. 버스 충전시설에 대해서도 소화기 비치를 의무화하고 운수회사·소방본부 등 관계기관과의 합동 화재훈련도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전기 택시의 경우 운전자를 대상으로 차량 화재 예방·현장 대처 교육을 집중적으로 진행한다. 시는 전용 소화기 구매 비용 등도 지원할 예정이다.

세계일보

서울의 한 지하 공영주차장에 화재용 질식소화포와 소화기가 비치돼 있는 모습. 서울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동 킥보드 등 PM 안전성 확보에도 신경 쓴다. PM 대여업체의 기기 보관창고와 충전장 등을 대상으로 과충전이나 인화물질 등 화재 발생 요인에 대한 현장점검을 실시한다. 대형 소화기 등 화재안전시설 설치 관련 조례 개정을 추진하고, 장기적으로는 PM 관련 법률 제정시 배터리 충전시설 설치·안전 기준 조항이 포함될 수 있도록 정부에 요구할 방침이다. 시는 공영주차장 등 차량 주차시설 내 안전관리 방안도 보강한다.

윤종장 시 도시교통실장은 “대중교통 시설 사전점검을 강화해 화재를 예방하고, 화재 대응방안을 촘촘히 마련해 시민들이 대중교통을 더욱 안심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주영 기자 bueno@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