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07 (토)

[보죠, 배터리]커지는 美 대선 리스크…불안한 전기차·배터리 업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잇단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 계획 변경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기차 캐즘(성장산업의 일시적 정체)에 이어 미국 대선 리스크가 커지면서 전기차·배터리 기업들의 투자·공장 건설 계획이 바뀌고 있다.

23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최고경영자)는 2분기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차량에 무거운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말했다"며 "그럴 경우 멕시코에 많은 투자를 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상황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테슬라는 앞서 멕시코 누에보레온주에 50억달러(약 6조 9195억원)를 투자해 여섯번째 기가팩토리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후 필요한 인허가 작업은 모두 마무리됐지만, 건설 계획 계속 미뤄지고 있다.

올해 11월 치러지는 미국 대통령 선거는 친환경 정책의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현재 우세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추진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폐기를 주장하며 전기차 정책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반면 민주당 대선 후보로 유력한 커밀라 해리스 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의 정책 기조를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이번 미국 대선이 천문학적인 투자금과 보조금이 걸린 '쩐의 전쟁' 결정판으로 불리는 이유다. 이에 따라 북미에 대규모 전기차·배터리 공장을 짓고 있는 기업들의 향배에도 관심이 쏠린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LG에너지솔루션과 GM의 합작 3공장의 건설도 제동이 걸렸다. 건설이 중단된 것은 아니지만 속도를 줄이면서 건설 일정은 향후 변경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다. 이 공장은 26억달러(약 3조6000억원)가 투입된 전기차 배터리 생산기지다. 당초 올해 하반기 준공하고 내년 초 1단계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었다.

포드, 리비안 등다른 북미 전기차 업체들도 최근 전기차 공장의 건설을 중단하거나 생산 일정을 연기했다. 전기차 캐즘의 영향도 있지만 미국 대선을 앞두고 커진 위험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특히 최근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암살 시도와 바이든 대통령의 후보 사퇴 등으로 미국 대선의 불확실성은 커지고 있다. 정권 교체 여부에 따라 큰폭으로 달라지는 친환경 정책에 전기차·배터리 업계가 요동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주요 외신은 한국 등 아시아의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이 트럼프 리스크로 인해 이미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앞으로도 불확실성 증대로 힘들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한 외신은 '트럼프 리스크가 아시아 배터리 제조업체들을 몰아붙일 것'이란 제목의 기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 대통령이 오는 11월 대선에서 승리하면 아시아 배터리 업체들의 미국 전략에 중대한 변화가 필요할 것"이라며 "배터리 업체들은 CATL 등 중국 업체들과의 치열한 가격 경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른 마진 축소로 인해 배터리 업체들이 미국의 정책이 비우호적인 기간을 버틸 능력이 제한된다"고 평가했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