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제주 생존자들이 배·보상금 지급에 문제를 제기하며 국가배상을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제주지법 민사2부는 오늘(25일) 세월호 참사 제주 생존자들이 대한민국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원고 청구를 각하했습니다.
각하란 소송이 법적인 요건을 갖추지 못했을 때 안을 심리하지 않고 종결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들 생존자는 2015년 세월호피해지원법에 따라 국가로부터 배·보상금을 지급받았습니다.
또한, 정부가 세월호피해지원법 제16조(지급결정 동의의 효력)를 통해 추가적인 국가 배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했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당시 배·보상금을 지급할 때 '배상금 등을 받으면 세월호 참사로 인한 피해에 대해 국가와 재판상 화해를 한 것과 같은 효력이 있다'는 내용의 동의서에 서명하도록 했습니다.
이들은 소송 제기 당시 연 기자회견에서 "재난 후 발생한 트라우마에 대한 평가가 최소 2년 경과 후 이뤄져야 한다는 전문의들의 의견을 정부에 알렸지만, 정부는 예외를 둘 수 없다며 기간 내 신청하지 않은 배상금은 지급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나 재판부는 생존자들이 서약서에 서명하면서 일부 치료 비용을 수령한 점 등을 보면 재판상 화해가 성립된 것으로 봐야 해 추가로 손해배상을 제기할 권한이 없다며 원고들의 청구를 모두 각하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최승훈 기자 noisycart@sbs.co.kr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