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3 (월)

日 사도광산은...조선인 1500명 강제노역 ‘아픈 역사’ 서린 곳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27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한 일본 니가타현 사도(佐渡) 광산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인이 동원돼 강제노역을 했던 장소다.

17세기 세계 최대 규모로 금을 생산했던 사도 광산은 니가타현 사도섬에 위치해 있다.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기계화 시설이 도입됐고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이어진 태평양전쟁 때는 구리·철·아연 같은 전쟁 물자를 확보하는 광산으로 활용됐다. 한국인에겐 일제강점기였던 1939년 이후 1000명이 넘는 조선인이 열악한 환경에서 구리·철·아연 등 전쟁 물자를 확보하기 위한 강제 노역을 했던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한국은 이곳에 대한 일본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시도에 반발하면서 “본인의 의사에 반해 강제 노역이 이루어진 것에 대한 충분한 서술 없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돼선 안 된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다.

조선인이 사도 광산의 열악한 환경에서 일했다는 기록은 니가타현 지역 역사서와 시민단체 조사 결과 등에 여럿 남아 있다. 니가타현 당국이 1988년 발행한 ‘니가타현사’는 “1939년 시작된 노무동원 계획은 명칭이 ‘모집’, ‘관(官) 알선’, ‘징용’으로 변하지만, 조선인을 강제로 연행했다는 사실에서는 동일하다”고 기술했다.

니가타현 사도시에 있던 옛 지자체인 아이카와마치(相川町)가 1995년 펴낸 ‘사도 아이카와의 역사’ 역시 “1945년 3월이 (조선인) 모집 마지막으로, 총 1200명이 사도 광산에 왔다고 한다”고 적시했다. 역사 연구자인 다케우치 야스토 씨는 다른 연구자, 지역 주민들과 함께 지난달 일본에서 출판한 ‘사도 광산·조선인 강제노동 자료집’에서 일본 자료와 증언 등을 토대로 “사도 광산에 동원된 조선인 수는 1500명을 넘는다”고 밝혔다. 그는 “동원된 조선인들은 경찰과 기업으로부터 감시받았다”며 “직장을 옮기는 자유를 빼앗겼고 죽음을 무릅쓰고 생산량을 늘린다는 구호 아래 생명을 건 노동을 강요받았다”고 지적했다.

사도 광산에서 조선인이 강제로 노역했다는 연구 결과는 이처럼 많지만, 일본 정부는 사도 광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면서 이같은 사실을 외면하고자 유산 대상 기간을 에도시대가 중심인 16∼19세기 중반으로 한정했다. 일본 정부는 사도 광산에 대해 “19세기 중반 막부 종언까지 이뤄진 전통적 수공업 금 생산 유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일본은 이를 반영해 일본어 유산 명칭도 ‘사도 광산’이 아닌 ‘사도섬의 금산(金山)’으로 붙였다. 이 명칭에는 태평양전쟁이 본격화한 이후 구리, 철, 아연 등 전쟁 물자를 확보하는 광산으로 이용된 사실을 배제하려는 의도가 담겼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지난달 6일 공개된 사도 광산 평가 보고서에서 일본이 제시한 유산 시기와 동떨어진 근대 유산 지역을 제외하라고 권고했고 일본 정부는 이를 수용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 현지에 강제 노역에 동원됐던 조선인 노동자의 역사를 전시하기로 결정했다.

-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

[김나영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