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나노코리아 2023'에서 부스를 둘러보는 관람객의 모습이 웨이퍼(반도체 원판)에 비치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인공지능(AI) 시장 확대에 따른 수요 회복으로 상반기 호실적을 거둔 반도체 업계에 하반기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다. 시장 수요와 수익성 문제를 이겨내지 못하면 AI·반도체가 배터리 산업의 뒤를 이어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에 빠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①생각보다 잠잠한 소비자 수요
지난해 9월 22일 아이폰15 출시일을 맞아 중국 상하이의 애플스토어 앞에 고객들이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폭발적으로 성장 중인 AI 서버 분야에 비해 스마트폰·PC 등 소비자 부문에서의 반도체 수요는 아직도 뚜렷한 반등 기미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성숙기에 접어든 스마트폰 시장은 소비자의 교체주기가 길어지면서 반도체 수요 회복과 가격 상승의 발목을 잡는 모양새다. 엣지워터 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모바일·PC 분야 D램 수요는 전년 대비 1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기대에 못 미친 수준으로, AI 서버에 탑재되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같은 기간 3배 이상 성장할 것이란 전망과도 대비된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AI가 IT 기기 수요를 끌어올리지 못한 사이 미국발(發) 경기 침체 우려가 반도체 업계를 덮치면서 인텔·SK하이닉스·엔비디아 등 관련회사의 주가폭락으로 이어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AI가 IT 시장을 바꿀 것이란 당초 기대와 다르게 더 이상 성장 여력이 없는 것 아니냐는 의문이 고개를 들고 있다”고 말했다.
━
②AI, 거품론 이겨내야
지난 2월 2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새너제이에서 열린 인텔 IFS 다이렉트 커넥트 행사에 샘 올트먼 오픈AI CEO(오른쪽)와 팻 겔싱어 인텔 CEO(왼쪽)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새너제이=박해리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나마 반도체 수요를 이끌어왔던 AI에 대한 의문의 꼬리표가 붙기 시작한 점도 업계의 위험 요소다. 구글·마이크로소프트(MS)·아마존 등 빅테크는 2분기 실적발표 이후에도 “AI에 대한 투자를 계속 이어갈 것”이라 밝혔지만 천문학적인 AI 인프라 투자액과 비교해 실제로 벌어들인 금액이 터무니없이 적다는 지적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타이베이(대만)=이희권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라이언 해먼드 미국 골드만삭스 주식전략가는 “아마존·메타·MS·구글이 지난해 3570억 달러(약 486조원)를 투자했는데 대부분이 AI 쪽으로 할당됐다”면서 “빅테크 기업들이 막대한 AI 지출에 따른 성과를 보여주지 못할 경우 상황이 순식간에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오는 3분기 출시를 앞둔 엔비디아의 차세대 칩 생산이 당초 예정보다 늦어질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AI 시장을 둘러싼 우려는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는 모양새다. 디인포메이션은 3일(현지시간) 엔비디아 블랙웰 B200에 설계상의 결함이 생겨 생산일정이 3개월 연기됐다고 전했다. 블랙웰은 엔비디아의 기존 주력 제품인 호퍼를 대체하는 신형 AI 칩 시리즈다.
이희권 기자 lee.heekwon@joongang.co.kr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