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뉴스1) 김지영 디자이너 =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지난 1월 19일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기 위해 노선 조정과 사업비용 분담 방안 등 조정 방안을 제시했다.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사진=(서울=뉴스1) 김지영 디자이너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사업이 속도를 낸다. 국토교통부는 사업 기간 단축을 위해 재정당국과 협의해 즉시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할 예정이다.
국토부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6일 위원회 본 회의를 열고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2021∼2025)변경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6건이 신규 광역철도 사업으로 지정됐다.
2018년부터 지자체 간 이견으로 지연돼 왔던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사업이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돼 본격적으로 사업이 착수 궤도에 올랐다. 서울 도시철도 5호선 연장사업은 지자체 간 노선에 대한 이견으로 2021년 광역교통시행계획 수립 당시 '추가 검토사업'으로 반영됐다. 이후에도 지자체간 노선, 추가역 신설에 대한 이견이 있었다.
대광위는 지난 1월 노선 조정안을 발표한 데 이어 7월 공청회를 열어 대광위 조정안으로 예비타당성조사 등 행정절차를 조속히 진행하면서 추가 역 신설·노선경로 등은 이후 행정절차 과정에서 지자체·관계기관 간 협의를 통해 검토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인천·김포 등 지자체도 행정절차 진행에 동의하면서 이번 광역교통시행계획에서 '추가 검토사업'을 '본 사업'으로 변경했다.
대광위는 사업 기간을 당기기 위해 최대한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향으로 재정당국과 협의해 즉시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할 예정이다. 광역철도사업 시행절차는 상위계획(광역교통시행계획) 반영 → 예비타당성조사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 기본설계 → 실시설계 → 공사발주 및 착공 → 준공 및 개통 순으로 이뤄진다.
또 지방권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사업 및 지방 광역철도 사업도 본격 추진된다. 수도권 GTX와 동일한 최고속도 180㎞/h로 운행하는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대구경북신공항 광역급행철도 사업도 광역교통시행계획에 신규 광역철도로 반영돼 더욱 탄력을 받게 되었다.
아울러 대구권 광역철도 2단계(김천-구미), 동탄-청주공항 광역철도, 용문-홍천 광역철도 등 지방 광역철도사업도 신규 사업으로 반영됐다.
이번 5개 광역철도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 등 관련 절차를 거쳐 사업 추진이 확정되면 국비 70%까지 지원받게 된다.
강희업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장은 "광역교통시행계획 변경을 통해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사업이 본 궤도에 진입하게 됐다"며 "예타 신청 등 절차를 속도감 있게 진행해 하루 빨리 김포, 인천 지역 주민들의 교통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혜윤 기자 hyeyoon12@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