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체에 따르면 현재 글로벌 조선 시장에서 인도 점유율은 1% 미만이다. 2030년까지 상위 10위권 진입 뒤 2047년에는 상위 5위 내에 들어선다는 목표다.
우선 인도 정부는 선박 해체 시장에 주목하며 크레딧 제도 도입을 검토 중이다.
매체는 소식통을 인용, "인도 해체조선소에서 해체되는 선박 잔존가치의 40% 상당을 크레딧으로 지급하고, 이를 신규 선박 건조 비용으로 상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소식통은 "크레딧 제도는 선박 재활용 부문에서 인도를 선택하게 하기 위함"이라며 "다만 크레딧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도에서 새 선박을 건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보조금 정책도 손본다.
일반 선박, 석유운반선 및 컨테이너선 등 특수 선박, 친환경 선박 및 미래형 기술을 적용한 선박에 대한 보조금 비율을 각각 20%, 25%, 30%로 차등 적용하고, 2034년 3월까지 10년 동안 비율 변동 없이 고정적으로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계획이다. 고정 비율 보조금 정책은 필요에 따라 2047년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매체는 "고정 비율 보조금 정책은 2016년 4월부터 10년 간 시행하기로 한 기존 지원 제도와 다르다"며 "기존 보조금 정책에서는 보조금이 3년마다 3%포인트(p)씩 축소된다"고 지적했다.
인도 정부는 당초 보조금 지급에 400억 루피(약 6532억원)의 예산을 편성했으나 현행 보조금 제도 종료까지 2년이 채 안 남은 현재 10%가량만이 소진된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조선업체들이 외국 조선업체들과 수주 경쟁을 벌이는 과정에서 겪는 비용 불이익을 상쇄하기 위해 보조금 정책을 도입했지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수요 부진과 인도의 상선 건조 능력 한계로 인해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다고 매체는 평가했다.
이와 함께 안드라프라데시, 구자라트, 오디샤 3개 지역에 해양 클러스터를 건설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며, 이들 정책은 현재 내각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고 매체는 덧붙였다.
[사진=바이두(百度)]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hongwoori84@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