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2 (목)

“이정재 주연 드라마, 더이상 제작 안해”…‘대박’ 난 줄 알았지만 결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배우 이정재가 서울 용산구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열린 영화 스타워즈 새 시리즈 ‘애콜라이트’(The Acolyte) 기자간담회에서 출연 소감을 밝히고 있다. 2024.6.5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배우 이정재가 핵심 배역을 맡은 ‘스타워즈’ 시리즈 ‘애콜라이트’(The Acolyte)가 시청자들의 호응을 얻지 못한 가운데, 시즌 2가 제작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20일(현지시간) 미국 매체 데드라인과 버라이어티 등에 따르면 이들 매체의 소식통은 스타워즈 시리즈 제작사인 디즈니 산하 루카스필름이 애콜라이트의 추가 시즌을 제작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부작 시리즈인 애콜라이트가 스트리밍 플랫폼 디즈니플러스(+)에서 방영을 마친 지 약 한달 만에 나온 소식이다. 애콜라이트는 공개 첫날 480만회를 포함해 닷새간 1100만회의 시청 횟수를 기록하며 올해 디즈니+에서 가장 높은 초기 시청 기록을 쓴 바 있다.

그러나 그 기세를 이어가지는 못했다. 시장조사기관 닐슨의 스트리밍 상위 10위 차트에서 첫 주에 7위로 데뷔했다가 3주 차부터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마지막회 시청 시간은 3억 3500만분으로, 역대 스타워즈 시리즈의 마지막 회 중 최저치로 추정된다고 데드라인은 전했다.

서울신문

디즈니+ 드라마 ‘애콜라이트’에서 제다이 마스터 ‘솔’을 연기한 배우 이정재(오른쪽 첫 번째)가 제다이의 상징인 광선검을 뽑아 들고 있다. 디즈니+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추가 시즌이 제작되지 않는 데 대해 데드라인은 “애콜라이트가 비평가들에게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스타워즈 팬들의 평가가 엇갈리면서 시청률에 반영된 점을 고려하면 놀랍지 않은 소식”이라고 밝혔다.

실제 미국의 영화·드라마 평점사이트 로튼토마토에서 이날 기준 애콜라이트에 대한 비평가 점수는 평균 78점이지만, 일반 시청자 점수는 평균 18점으로 매우 저조한 수준이다.

데드라인은 애콜라이트에서 이정재가 연기한 제다이 ‘마스터 솔’이 기존의 완벽하고 고결한 이미지와 달리 입체적인 캐릭터로 그려진 점이 스타워즈 팬들의 폭넓은 호응을 끌어내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또 드라마 속에 성소수자 캐릭터를 그린 점이나 주요 역할에 유색인종 배우들을 대거 캐스팅한 점도 일각의 반발을 일으킨 요인으로 지목됐다.

미 언론들은 “넷플릭스나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처럼 디즈니+ 역시 시즌 한 편당 제작비가 1억 달러(약 1332억원)가 넘는 대규모 시리즈를 제작하려면 더 높은 시청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애콜라이트 시리즈 제작에는 약 4년이 걸렸으며, 8편의 에피소드 제작에 약 1억 8000만 달러(약 2397억원)가 투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정재 연기에 대한 美언론 평가 엇갈려
서울신문

‘스타워즈’ 시리즈 ‘애콜라이트’(The Acolyte)에서 마스터 제다이 역을 맡은 배우 이정재. 유튜브 ‘디즈니 플러스 코리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애콜라이트가 공개된 이후 이정재 연기에 대한 미 언론 비평가들의 평가도 엇갈렸다.

할리우드리포터는 이정재 연기에 대해 “‘마스터 솔’로서 미묘한 연기를 하며 말로 설명할 수 없는 다정함을 표정 하나만으로 전달한다”며 “물론 그는 드러낼 필요가 있는 감정을 전달하는 데에도 매우 매끄럽다”고 평했다.

버라이어티도 “이정재가 연기한 ‘마스터 솔’은 제다이의 양면성을 공감할 수 있는 얼굴로 등장한다”고 평가했다.

다만 뉴욕타임스(NYT)는 “캐릭터들이 상실과 슬픔, 충성심, 복수에 대해 상투적으로 말한다”며 “동정심 많은 제다이 역 이정재는 첫 영어 역할에서 별다른 임팩트를 보여주지 못한다”고 비평했다.

한편 애콜라이트는 1999년 개봉한 영화 ‘스타워즈: 보이지 않는 위험’보다 100년 앞선 공화국 시대 말기를 배경으로 평화를 수호하는 제다이 기사단의 이야기를 다뤘다.

윤예림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