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2 (목)

몸값 엄청난 ‘이 직업’ 주목…기본급 3억+성과급 6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첨단기술 발전으로 사이버 위협 커져
사이보 보안 책임자 중요성↑


매경이코노미

(챗GPT)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첨단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사이버 보안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개인 정보 노출 가능성이 확대되고 공격 형태가 정교해지는 등 문제가 다양하게 불거지고 있으나 사이버 보안 전문가가 부족해 해결이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사이버 보안 책임자 등 보안 인력의 몸값 역시 주목받고 있다.

지난 8월 20일 포브스는 현재 글로벌 사이버 보안 인력이 400만명 가까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상용화되면서 사이버 보안 인력 필요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인재 교육 및 육성이 시급해졌다.

세계경제포럼(WEF) 글로벌 사이버 보안 전망에 따르면 글로벌 기업의 경영진 대부분이 ‘사이버 보안 기술과 관련 인재 부족을 경험했다(90%)’고 밝혔다. 또한 71%가 ‘사이버 보안 인재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즉각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보안 인재 수요가 늘면서 미국 노동통계국은 오는 2032년까지 미국 사이버 보안과 관련된 일자리가 약 32% 늘어날 것이라고 발표했다. 같은 기간 미국 전체 일자리 평균 성장률(3%)을 10배 이상 웃도는 수준이다.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드마켓 역시 글로벌 생성형 AI 사이버 보안 시장이 매년 연평균 9.4%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해 1904억달러(약 260조원)에서 오는 2028년에는 2985억달러(약 407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다수 기업과 기관에선 보안 전문가 영입을 위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옥타는 사이버 보안 인재 육성을 위해 앞으로 5년간 5000만달러(약 677억2500만원)를 출자하기로 했다. 또한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MS), 트위치, 페이팔, 시스코 등 글로벌 테크 기업들도 사이버 보안 인재를 지속적으로 수혈하기 위한 지원책을 마련한 바 있다.

포브스는 “글로벌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이버 공격은 약 10조5000억달러(약 1경4013조원)의 비용을 발생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최근 크라우드스트라이크 대란 등 사이버 공격이 주목받은 만큼 기업이 사이버 위험 완화 대책을 세우고 사이버 복원력 전략 강화에 방점을 찍을 수 있다”고 짚었다.

CISO, 기본+성과급 10억원↑
대체로 1억7000만~3억원 기본급 챙겨
이런 흐름에 사이버 보안 전문가 몸값도 뛸 것으로 예측한다. 미국 경제연구소(ERI)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미국 정보보안 분석가 평균 연봉을 지난해 5월 기준 약 12만360달러(약 1억6300만원)로 기록했다. 정보보안분석가는 기업 정보 시스템에 들어오는 데이터를 거르고 프로그램 품질을 유지하는 직업이다.

기업에서 물리적·디지털 보안을 관리하는 최고정보보안책임자(CISO)는 기본급 27만5000달러(약 3억7200만원)를 받는다. 다수는 매년 50만달러(약 6억8000만원)을 성과급으로 받는다.

보안 취약점을 파악하고 정보 시스템을 관리하는 사이버 보안 관리자 연봉은 15만~22만5000달러(약 2억300만~3억48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웨어와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보안 엔지니어 연봉은 13만~20만달러(1억7600~2억7000만원)다. 사내 화이트해커 평균 연봉은 12만5000달러(약 1억7000만원)다.

우리나라 역시 사이버 보안 전문가가 필요하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접수된 올해 상반기 사이버 침해사고 신고 건수는 총 899건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664건) 대비 35.4% 증가했다. 주로 웹서버 해킹(504건)과 디도스 공격(153건)을 당했다.

하지만 사이버 보안 인재를 키우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 부족, 직업 성장 및 접근 개선 필요성, 값비싼 자격증, 불명확한 경력 루트 등이 산업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재 확보를 위해 정부의 도움과 기업의 노력 둘 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