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3 (금)

회담 생중계 '고집' 한발 뺀 한동훈, 野 "채 상병 특검법 발의는 언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동훈 생중계 카드 "전제조건 아냐"
당 안팎 비판에 부담... 한발 물러나
野 "용산 바지사장 아님을 증명하라"
채상병특검법 발의 고리 압박 높여
'코로나 확진' 이재명 이르면 27일 복귀
의료대란 등 민생 위기 협력 회담 불가피
한국일보

지난 3월 1일 한동훈(오른쪽) 국민의힘 대표(당시 비상대책위원장)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서울 중구 유관순기념관에서 열린 제105주년 3·1절 기념식에서 인사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26일 여야 대표 회담 조건으로 생중계를 고집하지 않겠다고 발을 뺐다. 전례 없는 회담 공개 제안을 두고 야당은 물론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형식에 집착한다"는 비판이 나오자 한 수 접고 들어가는 모습이다. 한 대표의 반보 '후퇴'에도 더불어민주당은 중요한 건 형식이 아닌 의제라고 못 박으며 채 상병 특별검사법안 발의를 재촉했다. 양당 대표 비서실장은 이날 세번째 만남을 가졌지만, 회담 날짜도 잡지 못한 채 별다른 소득없이 돌아섰다. 이르면 27일 이재명 민주당 대표 복귀에 맞춰 대표 회담 실무협의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한 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회담의 전부를 국민에게 그대로 공개하는 게 좋지 않겠냐는 생각엔 변함이 없다"면서도 "회담의 전제조건으로 고집하진 않겠다. 가장 중요한 건 빠른 시일 내에 회담을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표의 회담 제안 수락 이후 한 대표가 역으로 띄운 '생중계' 승부수를 스스로 거둬들인 셈이다.

다만 한 대표는 여전히 공개 회담 필요성을 역설했다. "새 정치의 전모를 보여드리는 게 의미가 있고, (회담 결과에 대한) 해석의 여지가 적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정치권에선 한 대표의 이날 발언을 두고 용산 대통령실을 의식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당장 비공개로 회담을 진행했을 때, 채 상병 특검법 등 여야 이견이 큰 현안을 두고 이면합의를 한 것 아니냐고 의심을 살 우려를 불식시키려 했다는 것이다. 한 대표가 한발 물러나면서 이날 열린 실무회동에선 회담 '형식'은 가닥이 잡혔다. 시기도 다음달 추석 전에는 성사시켜야 한다는 얘기가 나왔다. 이해식 민주당 당대표 비서실장은 기자들과 만나 "(회담 전체 공개시) 성과보다는 토론하고 입장만 확인하는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비판에 대해 한 대표도 인정을 한 것 같다"며 '모두발언 공개, 비공개 협의, 회담 결과 공개' 방식으로 회담 형식이 조율되고 있다고 전했다.

의제와 관련해선 여야는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민주당은 △채상병 특검법과 △25만원 민생지원금 △지구당 부활을 내세웠고, 국민의힘은 △정쟁 중단 △정치개혁 △민생회복을 던져놓고 줄다리기를 벌이는 상황이다.

민주당이 가장 집중하는 건 역시 채 상병 특검법이다. 이날도 한 대표를 '바지사장'에 겨누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일국의 집권여당 대표가 바지사장은 아니지 않으냐"며 "오늘 안에 말 아닌 법안을 내놓으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은 박 원내대표가 한 대표에게 자체적으로 요구한 채 상병 특검법안 마감시한이었다.

민주당이 한 대표를 자극하는 데는 여야 회담을 앞두고 용산 대통령실과 틈을 벌리려는 의도도 깔려 있다. 이를 의식한 듯 한 대표는 "(민주당 요구에) 왜 따라가야 하느냐. 민주당은 정치게임으로 보고 여권 분열 포석을 두려는 것 아니냐"고 받아쳤다. 특검법 발의 구체적 시기와 내용에 대해선 말을 돌렸다. 민주당 정무조정실장인 김우영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서 "(의제 관련) 솔직히 합의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실질적으로 여야 대표 회담이 성사되고 잘되려면 독자적인 의사결정권을 가져야 하지만, 용산과의 관계설정에서 한 대표가 상당히 딜레마에 갇혀 있는 느낌"이라고 전했다.

이날 실무 회동에서도 답답한 상황이 반복되면서 '회담 회의론'까지 터져 나왔다. 이 실장은 "대표 회담이 대국민약속이고 이 대표 입장에서도 성사됐으면 좋겠다는 의지가 있는데, 의제간 너무 간극이 크다 보니까 꼭 해야 하나 회의적인 생각도 든다"고 털어놨다.

그럼에도 여야 대표 회담 판 자체가 깨지지는 않을 것이란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의료대란 등 당장 코앞에 닥친 민생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여야 수장이 등판해 협력하는 그림을 만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대표 복귀가 변곡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강윤주 기자 kkang@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