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6 (월)

제주 하늘길 2배 넓어진다…'2공항 건설사업 기본계획' 고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 551만㎡ 규모, 5.45조 사업

2015년 11월 입지 발표, 기본계획까지 10여년 걸려

2단계 확장 사업 추후 검토, 연 1992만명까지 수용

환경영향평가, 지역 의견 수렴 등 실착공 시기 미정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박경훈 기자]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을 추진한 지 10여년 만에 국토교통부가 ‘기본계획’을 고시했다. 이후 기본·실시 설계→실시계획 수립 등을 거쳐 공사에 들어간다. 다만 여론수렴 등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실착공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제2공항의 총 사업비는 5조 4500억원으로 연간 1690만명 규모의 여객을 수용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정부가 추진 중인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 기본계획을 6일 고시하고, 이어 올 하반기 설계착수와 환경영향평가 등 후속 절차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제주 제2공항은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에 551만㎡ 면적으로 조성한다. 주요 시설은 △활주로(3200m×45m) 1본 △계류장(31만 1000㎡, 항공기 28대 주기) △여객터미널(11만 8000㎡) △화물터미널(6000㎡) △교통센터 등으로 총 사업비는 5조 4500억원이다.

제주 2공항은 2015년 11월 사전타당성조사를 통해 성산읍 일원 입지를 발표하며 시작됐다. 이후 2016년 12월 예비타당성조사(B/C 1.23, AHP 0.664)를 통과했다. 환경부에 전략환경영향평가 2019년 6월 초안 제출 이후 3차례 보완 요구와 반려를 거쳐 2023년 3월 최종 ‘조건부 협의’를 이끌었다.

제주 제2공항은 제주도의 자연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친환경 공항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여객터미널의 경우 에너지 소비량의 60~80%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고, 지하수 보존, 생물 대체 서식지 조성 등을 위한 친환경 사업도 함께 시행할 예정이다.

그 외에도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 제주 제2공항 건설에 따른 환경 영향 저감방안을 검토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추가적인 친환경 사업이 반영될 전망이다.

제2공항이 개항하면 연 1690만명 규모의 여객을 처리할 수 있다. 국토부는 항공 수요의 증가 추이에 따라 연 1992만명의 여객이 이용할 수 있도록 2단계 확장 사업도 추후 검토한다. 이번 사업에는 추후 확장할 사업의 부지 조성까지 포함했다. 이후의 확장 사업에서는 공항개발사업 이외의 문화·상업시설과 항공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에는 민자 사업 등 다양한 추진 방안을 검토한다.

제주 제2공항이 개항되면 현 제주국제공항의 포화 상태 해소는 물론, 제주도를 찾는 국민과 지역 주민께 안전하고 쾌적한 항공교통서비스를 제공하고, 향후 증가가 예상되는 국내·외 항공수요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제주 지역의 관광객 증가 및 경제 활성화 효과가 기대된다.

국토부는 기본계획 고시에 이어 기본설계와 환경영향평가 등 후속절차에 착수할 계획이다. 환경영향평가의 경우 (약칭)‘제주특별법’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와 협의해야 하고, 협의 내용에 대해 제주도의회의 동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 만큼 지역의 의견을 수렴해 관련 절차를 진행해 나갈 방침이다.

이 때문에 착공 시점은 미정이다. 앞서 2021년 이뤄진 제2공항 건설에 대한 제주도민 여론조사 결과, 한국갤럽 조사에서는 44.1%가 찬성, 47%가 반대를 보였다. 엠브레인퍼블릭의 조사 역시 찬성이 43.8%, 반대가 51.1%로 반대가 소폭 높았다.

이상일 공항정책관은 “도내 찬반 여론을 감안해 제2공항 건설의 경우 다른 공항사업과 달리 착공 시점을 예정하고 있지 않다”면서 “개항 목표 시기는 착공 후 5년이다. 제주도민들과 제주도, 의회와 공감대를 마련한 뒤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